<br>
새해 결심 중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 중의 하나가 ‘**독서**’다. 하지만, 책을 그저 많이 읽는 것은 ‘두 번째 뇌 만들기’를 위해서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 책 한 권을 읽어도 제대로 읽고, 독서 노트를 써야 한다. **아웃풋**(output)이 없는 책 읽기는 우리에게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책장에 있는 책 중에서 1~2년 전에 읽은 책을 꺼내서 뭐가 기억나는지 떠올려보라. 무엇이 기억에 남는가? 그 책을 읽고 실행하거나 이루어진 것이 있는가?
[Building a Second Brain (BASB)](https://www.buildingasecondbrain.com/)의 티아고 포르테가 책 읽기 인플루언서인 Alex W와 ‘독서 노트하는 법(Taking Book Notes)‘에 관한 인터뷰를 했다. Alex는 [Alex and Books](https://alexandbooks.com/)란 이름으로 블로그, 팟캐스트, 유튜브 등에 콘텐츠를 만들고 있다. 영상을 보고 요약하며 깜짝 놀랐다. 내가 종이책을 읽을 때 사용하던 방법과 95% 정도 같았기 때문이다. 내 경험을 통해 이 종이책 독서 노트법이 효과가 있음을 보장한다.
<br>
### 수집하기(Capture)
#### 마음에 와닿는 문장을 하이라이트 한다
책을 읽으면서 마음에 와닿는 문장을 하이라이트한다. 책에는 목차가 있듯이, 이 하이라이트는 나만의 새로운 목차가 되는 것이다. 책의 표지 바로 뒤 맨 앞이나 책의 맨 뒤는 보통 공백이다. 이 공백 부분을 활용하여 도서 노트를 쓴다.
하이라이트는 중요한 부분에 하더라도, 맨 앞에 적는 목차 독서 노트에는 가장 중요한 하이라이트만 추려서 적는다. 페이지 번호를 같이 적기 때문에 더 많은 하이라이트는 해당 페이지에서 더 찾아볼 수 있다.
![[BookNotes_AlexAndBooks_FrontPage.jpg]]
<br>
### 정제하기(Distill)
#### 내 생각을 적는다
책의 맨 뒤 공백의 왼쪽 페이지에는 이 책에서 배운 가장 중요한 교훈을 적는다. 오른쪽 페이지에는 내 삶에 적용할 수 있는 조언(actionable advice)이나 실행 계획을 적는다. 책 뒤에 적은 독서 노트는 책 앞에 적은 독서 노트와 다르게 저자의 생각이 아닌 ‘**내 생각**’를 적는다. 읽은 책을 몇 개월 뒤에 다시 보게 되면, 맨 뒤에 쓴 독서 노트를 보고 회고하면 된다.
![[BookNotes_AlexAndBooks_BackPage.jpg]]
필자는 맨 뒤 페이지에 독서 시작 날짜와 끝낸 날짜를 적었는데, Alex는 책 맨 앞에 시작 날짜, 맨 뒤에 끝낸 날짜를 적는 점이 다르다. 나는 두 번, 세 번 읽으면 그 기간을 맨 뒤 페이지에 적었다.
<br>
### 언제 노트 쓰기를 하나요?
마음에 드는 문장을 만났다고 해서 바로 노트 쓰기를 하면 독서 흐름이 끊길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독서 흐름에 맞는 적정 시간을 파악한다. 보통은 한 장(chapter)을 끝내고 요약하면 좋다. 하이라이트 한 곳을 빨리 찾기 위해서 책의 모서리를 접으면 좋다. 필자는 왼쪽 페이지의 위아래, 오른쪽 페이지의 위아래 총 4곳을 접어서 빨리 찾을 수 있었다. 즉, 마음에 드는 문장이 페이지 중앙에서 위쪽에 있으면 위쪽 모서리를 접는 방법이다.
<br>
### 어떻게 디지털 노트로 옮겨 쓰나요?
책을 완독 후, 며칠 후에 책의 앞뒤에 쓴 독서 노트를 보고 내가 이 책에서 얻는 가장 중요한 교훈 3가지를 떠올려본다. 이 3가지 교훈과 삶에 적용할 실행 계획 3가지를 디지털 노트앱에 적는다. (3 & 3) Alex는 뉴스레터에 독서 노트를 써서 보내고, 이 내용을 노션(Notion)에 옮겨 적는다. 노션의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활용해 독서 리스트를 만든다.
![[BookNotes_AlexAndBooks_Notion-BookList.jpg]]
<br>
필자는 ‘[나의 전자책 독서법](https://brunch.co.kr/@analysisman/13)’에서 소개했듯이, 리디북스에서 원클릭으로 옵시디언(Obsidian)으로 불러온 후, 독서 노트를 쓴다. 가능하면 복잡한 프로세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고, 리디북스의 웹 독서노트와 옵시디언은 이를 가능하게 만들어주었다. 독서 노트는 옵시디언의 플러그인인 Korean Book Info와 Sortable을 활용했다.
(참고: [옵시디언 플러그인 추천 - Korean Book Info, Sortable - 분석맨의 '두 번째 뇌'](https://secondbrain.analysisman.com/1_WRITE/1_Obsidian/%EC%98%B5%EC%8B%9C%EB%94%94%EC%96%B8+%ED%94%8C%EB%9F%AC%EA%B7%B8%EC%9D%B8+%EC%B6%94%EC%B2%9C+-+Korean+Book+Info%2C+Sortable))
![[Elca_Books-Library.png]]
<br>
**두 번째 뇌(Second Brain)를 만들기 위한 독서 노트법의 핵심은 요약과 아웃풋(행동 계획)이다.**
첫째, 요약은 추상화의 과정으로 ‘[두 번째 뇌를 만드는 법](https://brunch.co.kr/@analysisman/11)’에서 소개한 ‘피카소의 황소(Picasso's Bull)’ 그림과 같다. 독서 노트 요약을 통해 책의 정수만을 뽑아낸다.
둘째, 아웃풋은 내 삶에 실행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너무 많은 실행 계획은 추천하지 않는다. Alex가 3 & 3 방법으로 했듯이, 필자도 ‘3의 법칙’을 좋아하고 추천한다.
세 가지 행동 계획이면 내 삶을 바꾸기에 충분하다.
<br>
## References
[(2788) Taking Book Notes (How to Start) - YouTube](https://youtu.be/fES9ZrLXY9s)
<br>
## Links
[[나의 전자책 독서법]]
[[Day 5_기억력을 향상시키고 똑똑하게 만드는 독서법]]
[[Day 69_근대 초기 영국인들의 독서법]]
<br>
## Tags
#read #book #2ndbr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