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스티브 잡스, 단순함의 추구
21세기 가장 창의적인 인물을 하나 꼽자면 '**스티브 잡스(Steve Jobs)**'를 빼놓을 수 없다. 잡스는 요즘 누구나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을 우리 손에 쥐여준 인물이다. 그전에 우리는 휴대폰, 즉 전화기를 들고 있었다. 하지만 아이폰이 출현한 이래 우리는 TV 보다 비싸고 과거 왠만한 PC보다 성능이 좋은 컴퓨터를 항상 손에 들고 다닌다.
스티브 잡스가 잘했던 것 중의 하나는 '**융합**'과 '**단순화**'다. 17년간 잡스와 일하고 '미친듯이 심플 (Insanely Simple)'을 쓴 켄 시걸은 말한다.
> "잡스가 거둔 최대의 업적은 맥이나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가 아니다. 그는 일찍이 누구도 생각지 못한 무언가를 성취했는데, 그건 바로 단순함(simplicity)이다."
<br>
스티브 잡스는 비즈니스에서 '**심플함**'의 힘을 가장 잘 이해한 사람이었다. 애플에 복귀한 잡스는 제품 전략 회의에서 화이트보드에 가로선과 세로선을 그어 정사각형을 네 칸으로 나눈 표를 그렸다. 그리고, 여기에 애플의 제품 단 4개만 집어넣었다. 그 당시 애플은 노트북, 스캐너, 프린터, 카메라 등 20가지 이상의 제품을 팔았고, 제품마다 모델도 다양했다. 또한, 잡스는 모든 회의를 할 때 꼭 필요한 핵심 인력만 불렀다. 만약 불필요한 인력이 참석하면 가차 없이 내보냈다.
그는 이런 '**단호함**'으로 휴대폰 첫 화면에서 숫자와 문자 자판을 사라지게 했다. 우리가 보는 스마트폰의 화면은 이제 검은 화면뿐이다. 필자는 과거 스마트폰의 1세대라 할 수 있는 블랙베리 폰을 가지고 있는데, 화면이 반, 자판이 반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물리적인 키가 화면 속으로 숨겨져서 융합되고 단순화된 걸 보면 놀라울 따름이다.
<br>
## 왜 우리는 못 하는가?
미술을 전공하지 않았거나 일반인의 눈에 피카소의 그림은 너무 단순해 보인다. 어떤 그림은 "나도 그릴 수 있겠다"라고 생각이 들게 만드는 그림도 있다. 하지만 그의 그림이 그렇게 단순화로 완성되기까지 섬세한 묘사와 디테일한 과정이 숨어있다. 아래 그림이 이를 보여준다.

<center><font color="gray">피카소의 <황소 The Bull></font></center>
<br>
뉴욕타임즈는 애플이 아이폰과 같은 제품을 만들어 내는 방식을 피카소의 황소 연작과 비교했다. 피카소가 위대한 작품을 만들기 위해 디테일을 제거했던 것처럼 애플의 디자인 철학도 단순함이다.
**단순함을 이루기 위해서는 치열함이 요구된다. 집착과도 같은 치열함이다.** 스티브 잡스는 애플 컴퓨터 안에 들어가는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단순함에 집착했다.
평범한 우리는 이런 치열함을 추구하기 쉽지 않다. 필자도 치열함의 경험이 많지 않다. 뭔가 한 가지에 몰입해서 끝장을 내기보다는 새로운 것을 배우고 많이 배우려고 했다. 그러다 보니 한 분야의 스페셜리스트가 아니라 제너럴리스트가 되었다. 제너럴리스트가 나쁜 건 아니다. 많은 일에서 제너럴리스트의 통합적 사고와 자질이 요구된다. 하지만, 도약이라 할만한 수준의 변화를 위해서는 치열함이 요구된다.
**치열함이란 물이 끓는 온도와 같다.** 적당히 노력해서는 결코 100도에 도달할 수 없고 물이 끓지 않는다. 치열함의 결과는 '**창조**'가 아닐까 한다. 물이 100도에 도달해 변화가 생기는 것처럼 치열함을 통해 뭔가가 만들어진다. 디지털로 표현하면, 0(무)에서 1(유)로의 변화다.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치열함을 통해 창조의 결과가 나오게 하는 노력이 자기 발전의 원동력이다.
<br>
스티브 잡스의 명언으로 글을 마무리한다.
> "심플함이 복잡함보다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심플해지려면 생각을 비우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그러나 결국 이것은 그럴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심플함에 이르는 순간, 산맥도 옮길 수 있을 테니까요."
<br>
## 연결 문서
[[_MOC_3_Essentialist]]
[치열함에 대하여 | 분석맨의 '상상력'](https://kr.analysisman.com/2020/09/success-intense.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