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당신이 어떤 책을 읽어왔는지 말해주면 나는 당신이 누구인지 말해줄 수 있다. > 당신의 독서목록은 그 자체로 당신의 자서전이고 영혼의 연대기이다. > – 김경욱, <위험한 독서> <br> ## My Thoughts - ‘[나의 전자책 독서법](https://kr.analysisman.com/2022/07/secondbrain-reading-ebook.html)’에서 소개했듯이, 벽 한 면을 책으로 다 채웠지만, 깔끔하게 정리 후 몇 개월 지나 다시 흐트러지고 정리하기를 반복했던 거 같다. - 100가지 책을 정리하는 방법이 있어도, 나에게 맞는 한 가지 방법이 더 소중하다. - 이젠 종이책은 거의 사지 않고, 전자책(eBook)으로 구입한다. - 독서 목록은 엑셀로 가나다순으로 정렬한다. - 읽고 있는 도서는 연도 별로 정리해서 매년 몇 권을 읽는지 적는다. - 독서 노트는 옵시디언에서 [Korean Book Info Plugin + Dataview + Sortable 조합](https://secondbrain.analysisman.com/1_WRITE/1_Obsidian/%EC%98%B5%EC%8B%9C%EB%94%94%EC%96%B8+%ED%94%8C%EB%9F%AC%EA%B7%B8%EC%9D%B8+%EC%B6%94%EC%B2%9C+-+Korean+Book+Info%2C+Sortable)으로 리스트를 만들어 사용한다. - 정리보다 중요한 것은 아웃풋(output) 이다. - 책을 사서 책장에 쌓기만 해서는 아무런 성장이 없다. 성장은 아웃풋을 통해서다. <br> ## Summary ### 책 나누기 1. 버릴 책, 보관할 책으로 나누기. 2. 책의 중요도 순으로 나누어라. 3. 읽을 책과 읽지 않을 책을 구분해라. 4. 그 밖의 팁 <br> ### 여러 가지 책 분류 방법들 - 가나다순 - 지역 혹은 국가 - 표지의 색깔 - 구입 일자나 출판 일자 - 책의 제본 형태나 크기 - 장르 - 개인적인 중요도 - 독자별 분류 <br> ## References [책을 정리하는 100가지 방법 : 네이버 블로그](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ibrary1004&logNo=30092024171&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br> ## Links [[_Index_1_DailyNote]] <br> ## Tags #write #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