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80/20 법칙으로 알려진, 파레토의 법칙(Pareto principle) - 새로운 시간활용법에 대해 생각할 때는 다음 두 가지 질문을 스스로에게 해보자. - 그것은 상식에서 벗어나 있는가? -> 기쁨을 주는가? → Focus/Joy - 시간의 효용을 몇 배 늘릴 수 있는가? -> 가치를 주는가? → Simplicity/Value 이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이 모두 'Yes'가 아니라면 좋은 시간 활용법이 아니다. - Maximum Results in Minimum Time - 결국, 에센셜리스트가 되는 원리다. <br> ## Summary 시간혁명을 위해서는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함께 연결시켜 사고해야 한다. 시간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 밑바탕에는 훨씬 더 근본적인 문제가 숨어 있다. 그것은 바로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그것을 위해 무엇을 버릴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br> ## 시간혁명의 7단계 ### 1단계: 노력과 보상은 비례하지 않는다는 발상의 전환을 하라 이제부터는 힘든 일, 특히 다른 사람을 위해 하는 일은 우리가 원하는 바를 얻는 데 효율적인 방법이 아니라는 사실을 마음속에 철저히 심어야 한다. 힘든 노동은 낮은 수익을 낳는다. ==현명한 통찰력을 발휘하여 스스로 원하는 것을 하면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자신에게 생산적인 나태함의 표본이 될 만한 수호성인을 정하라. (Ronald Reagan, Warren Buffett)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싶어질 때마다 이 두 사람을 생각한다. <br> ### 2단계: 여유 시간에 대한 죄의식을 버려라 죄의식 때문에 과도하게 힘든 일을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경계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죄의식을 느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은 전혀 나쁜 일이 아니다. 즐겁지 않은 일은 해봤자 아무런 가치도 없다. ==하고 싶은 일을 하자. 좋아하는 일을 자신의 일로 만들고, 자신이 하는 일을 즐기자. 현재 부를 누리고 있는 거의 모든 사람들은 자신들이 즐기는 일을 하면서 부자라는 부가적 보너스를 받은 사람들이다.== ==논리는 아주 단순하다. 가장 큰 성취를 보이는 사람은 자신이 하는 일을 즐기기 때문이다. 뭔가 비범한 가치를 창조하려면 자신의 소질을 충분히 발휘해야만 한다.== 미켈란젤로의 성적인 동기에서 유발된, 경이롭고도 장엄한 작품을 보자. 스스로 창작할동과 젊고 아름다운 남자들을 사랑했기 때문에 한 것이었다. 80/20 사고 방식은 일을 하지 말고 놀자고 선동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일을 할 때는 높은 가치를 가진 일, 놀 때는 큰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놀이에 집중하라는 것이다. <br> ### 3단계: 타인이 지워준 의무에서 벗어나라 대기업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도 자기 스스로를 위해 독립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 좋다. ==가장 큰 성과를 올리는 20%의 사람은 예외 없이 자기 자신을 위해 일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파트너와 의무를 매우 주의깊게 선택해야 한다는 점이다. <br> ### 4단계: 관습이나 상식의 틀을 깬 시간활용법을 생각하라 타인의 명령에 따르거나, 남의 기대에 맞는 일을 하거나, 참석하는 것이 당연시되는 회의에 참석하거나, 누구나 하고 있는 일을 똑같이 하거나, 혹은 사회적인 관습을 따르기 위해 가장 귀중한 20%의 시간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그러한 일들이 꼭 필요한 것인지 자문해보아야 한다. 상식적인 행동이나 해법에 의존하는 한 자신의 시간 중 80%를 별로 중요하지 않은 일을 하는 데 쓰게 될 것이며, 따라서 80/20 법칙이란 지배자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자기가 속한 세계에서 쫓겨나지 않으면서 어느 선까지 규범에서 벗어난 행동을 취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라. 늘 상식에 반하는 시간 활용법, 관습에서 벗어나는 특이한 시간활용법을 찾아보면 좋은 훈련이 될 것이다.== 시나리오를 몇 개 작성해보고 그 중에서 자신이 즐길 수 있고 가치가 높다고 생각하는 행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쓰는 안을 채택하자. <br> ### 5단계: 80%의 성과를 내는 20%의 시간을 파악하라 자신이 이룬 성과나 결과의 5분의 4, 스스로 느끼는 행복의 5분의 4는 자기 시간의 약 5분의 1에서 나온다. 먼저 살아가는 목적이 일에서의 성취인지 아니면 행복인지 확실히 해야 한다. 나는 그 두 가지를 각각 나누어 생각해보기를 권한다. ==자신의 '행복의 집합'들을 알아보자. 행복의 집합이란 자신이 어떤 일을 하면서 완전한 행복을 느꼈던 시간을 말한다. 그 행복의 집합을 모두 혹은 그 중 일부분 사이의 공통점을 이끌어내도록 하자.== 불행의 가장 중요한 요인들과 그 요인들 사이의 공통분모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취의 집합'들을 파악하자. 이것은 자신이 일 주일, 한 달, 일 년, 혹은 평생 동안 투자한 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가치를 성취한 기간들을 말한다. 그리고 될 수 있는 대로 많이 적는다. 이러한 '성취의 집합'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파악해보자. '무성취의 집합'들도 따로 목록을 만들자. 이는 가장 성과가 미미하고 생산성이 낮았던 기간을 말한다. <br> ### 6단계: 핵심적인 20%에 사용하는 시간을 늘려라 <br> ### 7단계: 가치가 낮은 활동을 중단하라 <br> ## References [대충 읽고도 성공하는 사람들의 비밀](https://brunch.co.kr/@toritori/9) <br> ## Links [[_Index_1_DailyNote]] <br> ## Tags #write #simplify #essenti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