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
> – 어니스트 헤밍웨이
> The first draft of anything is shit.
> – Earnest Hemingway
<br>
## My Thoughts
- 창작자, 작가가 가져야 할 마인드에 관한 영상이다.
- 핵심은 위의 헤밍웨이의 명언으로 요약할 수 있다.
- 하지만, 정착 이를 실천하기는 쉽지 않다. 한번 쓴 글을 다시 수정하지 않을 때가 많다.
- [단순함을 이루기 위해서는 ‘치열함’이 요구](https://kr.analysisman.com/2020/09/success-intense.html)되듯, 퇴고에도 이런 집착이 필요하다.
- 의식적으로 다시 수정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깎아내지 않는 이상 아마추어에 머물 것이다.
<br>
## Summary
### 스토리텔링
- 아마추어: 최초 발상에 대한 맹신, 어떻게 스토리를 재미있게 보여줄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만 한다.
- 상업 대중 예술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건 그 컨텐츠가 '**재미**'가 있는가 여야 합니다.
- "내가 보여주고 싶은 이야기"가 중심이 아니다. (작가주의 작품의 경우 예외)
- 명작은 연필이 아니라 지우개에서 나온다.
- 아마추어가 프로로 전향하는 가장 첫 번째 단계는, 최초의 발상에서 진행된 그 스토리, 그 스토리야말로 그 발상에서 진행할 수 있는 가장 재미없는 프로토타입 임을 인정할 것!
- 미켈란젤로의 다비드 상
- 다비드를 꺼내기 위해 필요없는 부분을 깍아낸다네
<br>
## References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 / 아마추어의 습관 / 스토리 텔링 / 이야기 강의 / 시나리오 공부 / 시나리오쓰기 / 영화시나리오 / 소설 / 웹툰 / 웹소설 / 스토리 작가 - YouTube](https://youtu.be/mpcQCdBQ79k)
<br>
## Links
[[_Index_1_DailyNote]]
<br>
## Tags
#writ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