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1일 1노트 쓰기 챌린지에 도전하며 예전에 봤던 글쓰기 비법 유튜브 영상을 정리한다.
- 글을 간결하게 써서 빠르게 포스팅하는 것이 핵심 팁이다.
- 결론을 먼저 써라.
- 내가 가장 잘하는 분야에 관해 써야 한다.
- 정보의 차별화는 나의 경험과 세계관에서 나온다.
- 지금 쓰고 편집은 나중에
-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라는 헤밍웨이의 명언을 기억하자.
- Fast Blogging = 300단어, 4문단으로 말하는 것을 끝낸다. = 15분 소요
<br>
## Summary
References에 링크한 유튜브 영상(18:18)을 정리함.
> "Be the change that you wish to see in the world."
> Mahatma Gandhi
> "당신이 세상에서 보고 싶은 변화의 주인공이 되라."
> 간디
<br>
### Never Stop!
글을 시작했으면 끝날 때까지 멈추지말라
### No Perfection
완벽함을 버려라
### Stoicism
극기심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해서 할 수 없는 것을 포기하다시피 하는 것
<br>
## 블로그 글쓰기
### 1\. 방해요소를 제거하라
글 쓰는 것에 집중하라
### 2\. 한 번 앉아서 포스팅 하나를 끝내라
글쓰기와 자료찾기는 따로하라
**500자 이내**
### 3\. 졸작이라도 모아두라
한 주제에 대한 글을 일단 끝까지 적어라
버리지 말고 모아라
다시 열어서 생각을 이어가라
### 4\. Write Now! Edit Later
지금 쓰고 편집은 나중에
**Pre-Blogging Work**
\= Fast Blogging
<br>
## 블로그 팁
### 1\. 정리하는 블로거라 되라
Be an organized blogger
### 2\. 아웃라인을 쓰라
Write an outline
서론, 본론, 결론
종이에 써라
한 가지 키워드나 테마를 종이에 적고, 그 안에서 전달해야 할 것들을 포인트 별로 적는다.
이것을 바탕으로 서론과 결론을 짠다.
나머지 본론에서는 서론을 더 자세하게 말해주고 살을 채우는 느낌으로 진행
<br>
### 미국의 유명 블로거, Carla Young의 빠르게 포스팅하는 법
#### 1\. 뜨는 뉴스 헤드라인을 검색, 선별
#### 2\. 3-5가지 포인트 잡기
#### 3\. 2번을 바탕으로 아웃라인 정하기
#### 4\. 아웃라인을 바탕으로 글쓰기
장점: 따로 시의성있는 키워드 검색을 하지 않아도 됨
<br>
### 3\. 블로그 글의 기준
A standard for Blog writing
**300단어, 4문단으로 말하는 것을 끝낸다. = 15분 소요**
### 4\. 결론을 먼저 쓰라
Write a conclusion first
### 5\. 한번 작가는 영원한 작가다
Once writer, forever writer
**결코 양 보다 질이 앞서서 성장할 수 없다**
### 6\. 언제 멈출지를 알아라
Know when to stop writing
번 아웃을 조심
### 7\. 스토리텔링을 하라
Be a storyteller
말하는 사람(speaker)과 듣는 사람(listener)의 뇌가 똑같이 자극을 받는다
스토리를 들은 사람은 다시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수월하다
**어휘**
Writer's thesaurus
Roget's thesaurus of Words for Writers
Oxford American Writer's Thesaurus
### 8\. 동사를 쓰라
Use verbs
과학자가 SNS 분석 결과, 동사를 포함한 게시물이 더 많은 ‘좋아요’를 받음
<br>
## 퇴고
### 1. 글을 간결하게 쓴다
빠른 글 생산을 위해서 필수
중문, 복문 구조가 아니라 단문 구조로 최대한 짧게
패스트 블로깅에 적합
### 2. 서론을 마지막에 쓴다
서론을 쓰는 에너지를 아껴도 본론, 결론을 쓸 수 있다.
<br>
### ※ 글쓰기 과정
Outline (아웃라인 설정) -> Research (자료조사) -> Write (글쓰기) -> Edit (글 수정하기) -> Introduction (서론 쓰기)
![[글쓰기 과정.jpg]]
<br>
## 내가 쓴 글이 수입으로 연결되려면?
### 1\. 글을 대중이 원하는 방향으로 쓴다.
대중이 필요한 정보를 주는 것
### 2.영향력 있는 사람에 거점을 둔다.
Branding Pays의 저자 Karen Kang
**브랜드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영향력이 있는 사람과 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쓴 글이 돈이 된다는 것은, 단순히 글에서 주는 정보 뿐만 아니라, 나라는 사람이 브랜딩 되면서 영향력이 증가하면서 얻게 되는 것
블로그 글과 함께 나도 브랜딩 됨
책 '부자의 그릇'
돈은 다른 사람이 주는데, 나에 대한 평가가 높아질수록 액수가 높아진다.
책을 쓰는 것도 좋지만,
**블로그, 유튜브를 통해 트래픽을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
**글을 쓰기로 했으면, 글을 써라**
매일 주제에 맞는 글을 써라
간결함을 유지하되 일관성 있는 주제의 블로그 포스팅도 엮으면 책의 한 꼭지가 될 수 있다.
사람들의 관심을 더 받는 사람이 유리함
사람들의 관심을 더 만들어내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
패스트 블로깅 = 일
- **내가 가장 잘하는 분야에 대해 써야 한다**
Henneke는 슬로우 블로깅을 창의적 럭셔리라고 표현
창의적 낭비는 빠르게 배우고 성장하는 사람들의 비결이다.
<br>
## 정보의 차별화는 크게 2가지에서 온다
### 1\. 나만의 경험
정보, 테크
나만의 경험 카테고리에 노하우, 비법 등을 포함
### 2\. 나만의 세계관
제품, 테크 리뷰 이외에 나의 관찰과 사상이 묻어날 수밖에 없는 성격의 정보
정약용
유배로 아들이 양계장을 하게 되었을 때, 모든 것을 샅샅히 적으라고 함.
정약용의 코드 (세계관) = 애민 정신
<br>
## References
[(860) 디지털 노마드, N잡 시대의 필수 스킬 글쓰기의 핵심 비법을 알려드립니다 - YouTube](https://youtu.be/fpPwd_KABmw)
<br>
## Links
[[_Index_1_Writing]]
<br>
## Tags
#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