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시간을 재가면서 일하면 시간을 의식하여 좀 더 집중할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갖게 한다. - 하지만, 정작 중요한 프로젝트가 아닌 자잘한 일에만 신경을 쓸 때가 많다. - 애덤 그랜트 교수처럼 해야 할 일의 ‘**의미**’를 먼저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 <[에센셜리즘](http://www.yes24.com/Product/Goods/14564728) Essentialism>에서도 에센셜리스트의 방식은 1단계가 ‘평가하기’로 본질적인 극소수의 일들을 찾아내는 것이다. <br> ## Summary - 생산성의 대가로 불리는 와튼스쿨의 조직 심리학 교수이자, <[오리지널스](http://www.yes24.com/Product/Goods/96568233) Originals>의 저자, 애덤 그랜트(Adam Grant) - 그는 시간 관리로는 절대 생산성을 높일 수 없다고 말한다. 그는 ‘주의력 관리(Attention Management)’를 제안한다. - ‘**주의력 관리**’는 의미가 있는 일을 집중해서 제때 처리하는 기술이다. - 일의 우선순위를 따진 뒤 중요한 일부터 집중하는 것이다. 1. 걸릴 시간이 아니라 ‘**일의 의미**’를 생각하자. - 글을 쓴다면 얼마나 빨리 끝내야 하는지가 아니라, 내가 왜 이 글을 쓰기로 한 건지 스스로에게 질문하라. - 생산성이 오르지 않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해서가 아니라, 동기 부여가 부족해서다. 2. 달콤한 디저트를 먹은 뒤 쓴 채소를 먹지 마라. - 대조 효과(contrast effects): 즐거운 일을 먼저 하면 지루한 일이 더 고역으로 느껴진다. - 적당히 흥미 있는 일로 시작 → 가장 지겹고 단순 한 일 → 가장 신나는 일은 보상처럼 마지막에 3. 신체리듬에 따라 일을 배분하라. - 아침형 인간: 오전에 분석적인 일, 오후에 창의적인 일 - 올빼미형 인간: 아침에 창의적인 일, 늦은 오후에 분석적인 일 4. 잠시 산만해지는 시간도 있어야 한다. - 하루 중 ‘창조자의 순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고품질의 작업 성과 = 투입 시간 x 집중 강도 (집중 강도를 극대화하여 투입 시간당 성과를 극대화) <br> ## References [시간 재가며 일한다고 생산성 안 높아진다! - 티타임즈 (ttimes.co.kr)](https://www.ttimes.co.kr/article/2019040314067712042) <br> ## Links [[_Index_1_DailyNote]] [[Journal_에너지 관리]] [[Day 40_오바마 대통령의 시간 관리 비법]] <br> ## Tags #productive #time #priority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