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고대 그리스 신화의 ‘[탄탈로스](https://namu.wiki/w/%ED%83%84%ED%83%88%EB%A1%9C%EC%8A%A4)’처럼 우린 항상 갈망하지만, 그걸 얻지 못한다. - 우리는 끊임없이 더 많은 걸 원하지만 완전한 걸 갖지 못한다. - 불만과 불편이 우리 뇌의 디폴트 설정이란 걸 알면 위로가 된다. - 태어나면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죽음으로 갈수록 버리면서 가야 한다. <br> ## Summary - 딴짓을 다스리는 길은 불편을 다스리는 법을 터득하는 것밖에 없다. - 우리가 태생적으로 만족하지 못하게끔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면 위로가 된다. 유감스러운 말이지만 아마도 우리는 절대로 삶에 완전히 만족하지 못할 것이다. - 행복감은 애초에 오래 유지될 수 없다. 기나긴 진화 과정에서 우리 뇌가 거의 항상 불만족하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 우리가 이렇게 생긴 이유는 간단하다. 《일반심리학 리뷰Review of General Psychology》에 실린 논문에서 인용하자면 “만족과 쾌락이 영원하다면 지속적으로 더 나은 편익이나 발전을 추구할 유인이 거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3[^3] - 다시 말해 만족감은 인류에게 좋은 것이 아니었다. 우리 선조들이 더, 더, 더 열심히 일하고 노력한 건 끊임없이 불안해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이고 그래서 우리도 그런 성질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br> [^3]: 3. R. F. Baumeister et al., "Bad Is Stronger than Good,"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5, no. 4 (December 2001): 323-70, https://doi.org/10.1037//1089-2680.5.4.323. <br> ## References [초집중 - YES24](http://www.yes24.com/Product/Goods/91303521) ### Smart Connections Q - My notes are that our brains are evolved to feel dissatisfied and uncomfortable all the time, so if you have any research on this, please let me know. A - Based on your notes, it seems that you are interested in research on how our brains are evolved to feel dissatisfied and uncomfortable. The article "Bad Is Stronger than Good" by R. F. Baumeister et al. in th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discusses how humans are wired to constantly seek improvement and progress, which can lead to feelings of dissatisfaction and discomfort. The authors argue that this trait was evolutionarily advantageous for our ancestors, as it motivated them to work harder and strive for better conditions. However, in modern times, this trait can lead to chronic stress and anxiety. You may find this articl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evolutionary basis of our tendency towards dissatisfaction. 이 노트에서 언급된 내용과 관련된 연구는 "Bad Is Stronger than Good"라는 논문입니다. 이 논문은 R. F. Baumeister 등이 2001년에 발표한 것으로, 인간이 끊임없이 개선과 진보를 추구하도록 유도되어 불만족과 불편을 느끼게 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이러한 성향은 우리 조상들에게 진화적으로 유리했으며, 더 나은 조건을 위해 노력하도록 자극했습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만족하지 못함과 불안이 만성적인 스트레스와 불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논문은 우리가 불만족을 느끼게 되는 이유를 다양한 실험과 연구를 통해 밝히고, 이러한 성향이 우리의 인간관계, 일상생활, 경제활동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이 논문은 우리가 나쁜 경험과 기억을 더 강하게 기억하고, 긍정적인 경험과 기억을 덜 기억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밝히며, 이러한 성향이 우리의 인간관계, 일상생활, 경제활동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리가 만족할 수 있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우리의 뇌가 가진 이러한 성향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긍정적인 경험과 기억을 더 강화하고, 나쁜 경험과 기억을 극복하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또한, 우리가 불만족을 느끼는 이유가 자신의 내적 욕구와 목표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목표와 욕구를 재조정하고, 더 나은 삶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야 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리가 불만족을 느끼는 이유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불만족을 느끼는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계속해 나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우리가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우리의 인간관계, 일상생활, 경제활동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불만족을 느끼는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야 합니다. <br> ## Links [[_Index_1_DailyNote]] <br> ## Tags #note #memo #brain #happy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