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Table of Contents # - [[#0장 차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0장 차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 [[#1장 리좀: 내재성, 혹은 외부의 사유|1장 리좀: 내재성, 혹은 외부의 사유]] - [[#2장 무의식과 욕망: 욕망하는 기계에서 욕망의 다양체로|2장 무의식과 욕망: 욕망하는 기계에서 욕망의 다양체로]] - [[#3장 이중분절, 혹은 지질학적 역사유물론|3장 이중분절, 혹은 지질학적 역사유물론]] - [[#4장 언어학의 외부: 반음계주의적 언어학을 위하여|4장 언어학의 외부: 반음계주의적 언어학을 위하여]] - [[#5장 기호체제들: 기호계는 어떻게 작동하는가?|5장 기호체제들: 기호계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 [[#6장 기관 없는 신체에 관하여:|6장 기관 없는 신체에 관하여:]] - [[#7장 얼굴의 정치학: 얼굴의 권력, 권력의 얼굴|7장 얼굴의 정치학: 얼굴의 권력, 권력의 얼굴]] - [[#8장 사건의 철학과 분열분석|8장 사건의 철학과 분열분석]] - [[#9장 미시정치학과 선분성: 거시정치와 미시정치|9장 미시정치학과 선분성: 거시정치와 미시정치]] <br> # Summary ## 0장 차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23    1. 《천의 고원》, 혹은 철학적 음악? 34    2. 들뢰즈+가타리 38 3. <천의 고원》에 이르는 길 1) 1968년 이전 I 2) <안티 오이디푸스〉: ‘정신분석학 비판을 위하여’ 3) (카프카>: ‘욕망’ 에서 ‘배치’ 로 I 4) (천의 고원>: 새로운 역사유물론? <br> ## 1장 리좀: 내재성, 혹은 외부의 사유 67    1. 책에 관하여 1) 책이란 무엇인가? | 2) 책과 외부   I 3) 책의 유형들 91 91 2. 리좀의 몇 가지 특징들 1) 접속의 원리 | 2) 이질성의 원리 | 3) 다양성의 원리 4) 비의미적 단절의 원리 I 5) 지도그리기와 전사술 108   3. 수목적 사유와 리좀적 사유 1) 수목적 체계와 위계적 체계 | 2) 초월성과 내재성 3) 리좀 속의 수목, 수목 속의 리좀 <br> ## 2장 무의식과 욕망: 욕망하는 기계에서 욕망의 다양체로 123    1. 분열분석의 대상 127   2. 《안티 오이디푸스》: 욕망으로서의 무의식 1) 정신분석학에서 욕망의 개념 I 2) 《안티 오이디푸스>에서 욕망의 개념 I 3) 분열분석의 네 가지 명제 I 4) 분열분석의 과제 152 152 3. <천의 고원》: 다양체로서  무의식 1) 변화의 요소들 I 2) 무의식, 혹은 늑대의 무리 3) 무의식, 리좀적 다양체 167   4. 분열분석이란 무엇인가? <br> ## 3장 이중분절, 혹은 지질학적 역사유물론 179   1. 지충화와 이중분절 1) 지층과 지층화 I 2) 이중분절 (1) 1 차 분절과 2차 분절 (2) 내용과 표현 차원에서의 분절 202   2. 지층과 추상기계 1) 추상 기계 (1) 형식의 추상과 탈형식적 추상 (2) 탈형식화의 추상기계 I 2) 지층과 그 외부 I 3) 지층화와 탈지층화 (1) 탈코드화/재코드화, 탈영토화/재영토화 (2) 상대적 운동과 절대적 탈영토화 223   3. 내용과 표현 : 구별의 유형들 1) 구별의 세 가지 유형 I 2) 실재적-형식적 구별 3) 실재적-실재적 구별 I 4) 실재적-본질적 구별 235   4. 내용과 표현의 관계 1) 내용/표현은 기의/기표 관계로 환원되지 않는다 2) 내용/표현은 내용/형식 관계로 환원되지 않는다 I 3) 내용과 표현의 상이한 형식에 진화적 단계를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248   5. 지층과 배치, 추상기계 1) 지층과 배치 | 2) 배치와 추상기계의 관계 <br> ## 4장 언어학의 외부: 반음계주의적 언어학을 위하여 261   1. 언어는 정보적이고 소통적이리라 1) 언어활동 : 명령과 훈육 I 2) 언표와 언표행위 I 3) 명령어 4) 주파수와 공명 I 5) 비신체적 변환 I 6) 화용론 282   2. ‘외생적 인’ 어떤 요소에 호소하지 않는, 언어라는 추상적 기계가존재하리라 1) 내용과 표현 I 2) 배치의 4가성 I 3) 언어학의 외부 297   3. 언어를 동질적인 체계로 정의할 수 있게 해줄 보편성과 항상성이 존재하리라 1) 상수들의 체계와 변수들의 체계 I 2) 일반화된 반음계주의 3) 언어 속의 언어들 I 4) 언어를 더듬거리게 하기 316   4. 다수적인, 혹은 표준적 인 언어 아래서만 언어는 과학적으로 연구될 수 있으리라 1) 표준어, 혹은 언어의 권력 I 2) 다수적 언어와 소수적 언어 3) 명령어와 탈주선 <br> ## 5장 기호체제들: 기호계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333   1. 기호체제의 개념 1) 기호체제와 미시정치학 I 2) 기호체제의 개념 338   2. 네 가지 기호체제 1) 기표적 기호체제 I 2) 전기표적 기호체제 I 3) 반기표적 기호체제 4) 탈기표적기호체제 379   3. 주체화체제와이중체 1) 주체화 체제의 얼굴 | 2) 코기토의 의식적 이중체 3) 커플의 정염적 이중체 I 4) 두 가지 잉여성 I 5) 탈지층화의 선 405   4. 기호체제의 혼성과   변환 1) 기호체제의 혼성성 I 2) 기호계의 변환/번역 가능성, 혹은 변환의 유형들 I 3) 기호계의 성분들 <br> ## 6장 기관 없는 신체에 관하여: ### "인간은 자신이 본래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426 1. 기관 없는 신체란 어떤 것인가? 1) 금이 그어진 알 I 2) 뭉개진 얼굴 I 3) 요가, 혹은 ‘본래면목(<span style="font-family: 'Noto Sans KR';">本來面目</span>)’ 439 2. 잔혹연극과 기관 없는 신체 446 3. 기관 없는 신체가 왜 ‘문제’인가? 454 4. 어떻게 기관 없는 신체를 만들 것인가? 459 5. 기관 없는 신체 위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 1) 기관 없는 신체와 강밀도 I 2) 기관 없는 신체와 욕망 I 3) 욕망과 내재성 477 6. 세 가지 지충, 세 가지 기관 없는 신체 1) 세 가지 지층 I 2) 탈지층화와 위험 I 3) 기관 없는 신체의 세 가지 유형 488 7. 기관 없는 신체와 일관성의 구도 <br> ## 7장 얼굴의 정치학: 얼굴의 권력, 권력의 얼굴 496 1.    ‘얼굴’과 ‘시선’의 현상학 501 2.    얼굴의 미시정치학 1) 표현기계 1 2) 얼굴과 권력 507 3.    얼굴과 신체 1) 얼굴과 언어 | 2) 머리와 얼굴 I 3) 얼굴과 풍경 525 4.    탈영토화에 관한 4개의 정리 532 5.    얼굴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작동하는가? 1) 안면성의 추상기계 I 2) 얼굴과 가면 I 3) 안면성-기계의 작동방식 4) 이항적 관계의 확장 574   6.    얼굴의 극한 1) 두 개의 극한적 얼굴과 클로즈업 I 2) 얼굴의 해체 혹은 탈안면화 <br> ## 8장 사건의 철학과 분열분석 593   1.    사건과 계열화 1) 사건이란 무엇인가? I 2) 점적(<span style="font-family: 'Noto Sans KR';">點的</span>) 사유와 선적(<span style="font-family: 'Noto Sans KR';">線的</span>) 사유 6이    601 2.    소설과 사건 608   3.    세 가지 삶,세 가지 선 620   4.    절단, 균열,단절 629   5.    두 종류의 감시자 634   6.    분열분석과 선의 배치 1) 선의 배치 1 2) 세 가지 선:혼합, 이행 그리고 위험 <br> ## 9장 미시정치학과 선분성: 거시정치와 미시정치 654   1. 선분성의 양상들 1) 선분성 1 2) 선분성의 세 형태 661   2. 선분성의두 유형 1) 이항적 선분성의 두 유형 I 2) 원환적 선분성의 두 유형 3) 선형적 선분성의 두 유형 681   3. 거시정치와 미시정치 1) 두 개의 성, N개의 성 I 2) 계급과 대중 I 3) 관료제 I 4) 전체주의와 파시즘 I 5) 유연한 선분성에 대한 오류 I 6) 68년 5월 혁명 704   4. 선분성과권력 중심 1) 선분적인 선과 양자화된 흐름 I 2) 화폐대중의 흐름과 선분화 3) 믿음·욕망의 흐름과 권력 I 4) 권력 중심에 대한 명제들 723  5. 세 가지 선과 네 가지 위 험 1) 두 가지 추상기계 I 2) 세 가지 선 I 3) 네 가지 위험 ① 공포② 명확성 ③ 권력 ④ 험오 혹은 멸망의 정염 ■    찾아보기 745   주제어 찾아보기 778   인명 찾아보기 <br> # References <br> # Links [[_MOC_1_Book]] <br> # Tags #book #nomadism #deleuze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