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중요한 정보는 말하고 써서 '장기 기억'으로 이동시킨다.
- 2주에 3번 이상 출력하는 방법은?
- 옵시디언 Reminder, Spaced Repetition 플러그인, 구글 Calendar 등으로 Remind
- 손글씨 노트 쓰기
- 블로그 등 외부에 퍼블리싱한다.
- 가르친다.
<br>
# Summary
- 뇌에 입력된 정보는 ''**해마**'에서 2~4주간 가보존된다.
- 해마에 가보존하는 기간 동안, 그 정보가 여러 번 쓰이면 뇌는 그 정보를 '**중요한 정보**'라 판단하고 장기 기억을 담당하는 '**측두엽**'으로 이동시킨다.
- 정보를 입력하고 **<u>2주일 동안 3번 이상 출력하면 장기 기억</u>**으로 남게 된다.
- 운동의 기억은 대뇌가 아니라 **소뇌**의 몫이다.
- **대뇌 해마**의 기억이 써넣기 방식이라면, **소뇌**의 기억은 지우기 방식이다.
- 운동하다 실수가 생기면 쓸데없는 운동을 유도하는 소뇌의 시냅스가 회로에서 삭제된다. 결국 지워지지 않고 엄선된 신경세포만 남게 된다. 결국 지워지지 않고 엄선된 신경세포만 남게 된다.
- **대뇌**의 기억력은 **의식적**으로 이뤄지지만, **소뇌**의 일은 **무의식적**으로 일어난다.
- 운동을 하면 기억력이 좋아진다는 말이 바로 이 같은 원리 때문이다.
<br>
![[Brain_1.png]]
![[Brain_Function.png]]
![[Brain_Function2.png]]
<br>
# References
[두뇌공학 활용한 기억력 키우기 - 매일신문](http://news.imaeil.com/page/view/2008081906593542895)
[뇌 | 인체정보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body/bodyDetail.do?bodyId=15)
[<해마를 찾아서>를 읽고-인간의 기억에 대한 모든 것 : 네이버 블로그](https://m.blog.naver.com/hedger/221908178541)
[내 삶의 ‘기억 장치’를 닦고 조여라 - 시사저널](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617)
<br>
# Links
[[_MOC_1_Brain]]
[[에피소드 기억(episodic memory)]]
[[의미 기억(semantic mem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