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한국식 교육 환경에선 질문하기 쉽지 않다.
- 질문하면 내가 모른다는 걸 드러내지는 않을까 남의 눈치를 본다.
- <[질문의 힘](http://www.yes24.com/Product/Goods/38099601)>이란 책에서 사이토 다카시는 “**좋은 질문이란 상대방에게 영감을 주는 구체적이고 본질적인 질문이다.**”라고 했다.
- 질문을 잘해야 좋은 답변을 얻을 수 있다.
- 질문의 대상이 반드시 다른 사람이 아니어도 좋다.
- 나에게 질문하거나, 제텔카스텐의 루만 교수처럼 나의 ‘[두 번째 뇌(Second Brain)](https://brunch.co.kr/@analysisman/2)’에게도 질문할 수 있다.
- 책을 읽으면서도 책의 내용을 무조건 받아들이지 말고, 질문을 해야 한다.
- 저자는 왜 이런 주장을 하는가? 저자보다 더 나은 아이디어는 무엇인가?
- 질문은 모든 혁신의 출발점이다.
<br>
# Summary
책 <[교육의 미래, 티칭이 아니라 코칭이다](http://www.yes24.com/Product/Goods/86153226)>
저자 ‘폴 김’ 스탠퍼드 교수 인터뷰
- 창의성의 핵심은 ‘**좋은 질문**’이다.
- 글로벌 리더는 Greater Good(홍익)을 추구한다.
- AI에 대비하려면, AI가 할 수 없는 질문을 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
- 실리콘밸리의 혁신은 질문에서 나온다.
<br>
# References
[“미래 인재 키우려면 가르치지 말고 질문하게 하라”](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53/0000026857?sid=102)
<br>
# Links
[[_MOC_1_DailyNote]]
[[소크라테스_산파술]]
[[“미래 인재 키우려면 가르치지 말고 질문하게 하라”]]
[[Day 47_PKM과 대화하기]]
[[우리 삶은 어떻게 질문하느냐에 달렸다]]
<br>
# Tags
#write #note #memo #dailynote #creativity #question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