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Why? (목적 - 왜 기록하는가?)
- 들뢰즈 철학 <노마디즘>을 공부하며 의미를 검색
## How? (방법 - 어떻게 활용할까?)
- 탈코드화와 탈지층화로 더 넓은 자유와 창조적 가능성을 열기
## What? (결과 - 무엇을 창조할까?)
- Obsidian Publish
- 일단, 탈코드화를 실행하고 피드백 루프를 만들기
<br>
# Summary
- 탈코드화 예
guest → 게스트
외국어를 한국어로 표시하는 과정에서 탈코드화되고 한국어 식의 코드로 재코드화된다.
형식은 코드, 코드화 및 탈코드화를 내포한다.
<br>
- Claude
==들뢰즈와 가타리 철학에서 '코드화(codification)'는 삶과 욕망을 특정한 체계와 규범 속에 가두어 통제하고 재현하는 과정을 가리킵니다.==
==그들은 우리를 둘러싼 세계가 본래 다양하고 역동적인 '흐름들(flux)'로 이루어져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지배적인 권력 구조와 기관들이 이러한 생성적 흐름들을 특정한 '코드'로 환원시켜 제한하고 통제한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자본주의 체제는 우리의 욕망을 화폐와 상품 코드로 번역하고, 국가 기구는 우리의 정체성을 시민/비시민의 코드로 구분합니다. 또한 정신분석은 섹슈얼리티를 특정 코드로 환원시킵니다.
이렇게 코드화된 체계 속에서 우리의 다양하고 유동적인 삶의 흐름은 고정되고 재현되어 실제 생성력을 잃게 됩니다.
따라서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러한 코드화에 저항하고 '탈영토화'를 통해 코드를 해체하고 새로운 생성의 가능성을 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고정된 정체성과 규범을 벗어나 주체성과 집단성을 새롭게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죠.
요컨대 '코드화' 개념은 삶과 욕망이 지배 권력에 의해 재현되고 통제되는 메커니즘을 비판하고, 새로운 해방과 창조를 향한 실천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br>
- ChatGPT
==들뢰즈 철학에서 '코드화'(coding)는 사물, 행위, 사회 관계 등이 특정한 규칙, 상징, 또는 의미 체계에 따라 조직되고 해석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작업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며, 특히 그들이 공동으로 저술한 "안티 오이디푸스"에서 광범위하게 탐구됩니다.
**코드화의 기본 이해**
- **의미 부여의 과정**: 코드화는 사물이나 행위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사회는 개인이나 집단의 행동, 사회적 상호작용, 심지어 생각의 방식을 규율하고 조직합니다.
- **사회적 규범과 질서의 형성**: 코드화는 사회적 규범과 질서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언어는 소리에 의미를 부여하는 코드화의 한 형태로, 사람들이 의사소통할 수 있게 합니다. 법률 체계 또한 사회적 행위에 대한 허용과 금지를 정의하는 코드화의 예입니다.
- **변화와 저항의 가능성**: 들뢰즈와 가타리는 코드화가 고정되고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재협상될 수 있는 과정이라고 봅니다. 새로운 코드화는 기존의 사회적, 문화적 질서에 도전하고, 새로운 형태의 생각과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창조적인 저항의 형태가 될 수 있습니다.
**코드화와 탈코드화**
==들뢰즈와 가타리는 '탈코드화'(decoding) 또는 '탈지층화'(deterritorialization)와 같은 개념을 통해, 코드화된 체계가 어떻게 분해되고 재구성될 수 있는지도 탐구합니다.== 탈코드화는 기존의 의미 체계나 규범에서 벗어나 새로운 의미와 조직 방식을 창출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개인과 사회에 더 넓은 자유와 창조적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들뢰즈와 가타리에 따르면, 코드화와 탈코드화는 사회적 실천과 변화의 지속적인 순환을 나타냅니다. 이 순환은 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추동하는 동시에, 개인과 집단이 기존의 제한을 넘어서 새로운 형태의 삶과 표현을 탐색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합니다.
<br>
- Copilot
==들뢰즈 철학에서 ‘코드화’(codage)는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규범이나 가치를 체계화하고 정형화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코드화는 사람들이 세상을 인식하고 행동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일종의 '규칙’이나 ‘지침’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언어는 의사소통의 코드화된 형태입니다. 우리는 특정한 문법과 어휘를 사용하여 의미를 전달합니다. 마찬가지로, 법률이나 도덕 규범도 사회적 행동을 코드화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규범들은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정의합니다.
들뢰즈는 이러한 코드화가 개인의 창의성과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사회적 규범과 가치가 너무 엄격하게 코드화되면, 사람들이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따라서 그의 철학에서는 '탈코드화’의 개념이 중요한데, 이는 기존의 코드화된 규범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표현과 창조를 가능하게 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간단히 말해, 들뢰즈의 '코드화’는 사회적으로 구축된 규범과 가치의 체계를 의미하며, 이러한 체계는 때로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그의 철학은 이러한 제한에서 벗어나 다양성과 창조성을 추구하는 것을 강조합니다](https://bing.com/search?q=)[1](https://bing.com/search?q=).
<br>
# References
[질 들뢰즈 - 나무위키](https://namu.wiki/w/%EC%A7%88%20%EB%93%A4%EB%A2%B0%EC%A6%88)
<br>
# Links
<br>
# Tags
#philosophy #deleuze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