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도공(Dogon)족 혹은 도곤족
<br>
## Why? (목적 - 왜 기록하는가?)
- 들뢰즈 철학 <노마디즘>을 공부하며 의미를 검색
## How? (방법 - 어떻게 활용할까?)
-
## What? (결과 - 무엇을 창조할까?)
- Obsidian Publish
<br>
# Summary
![[노마디즘_도공족의알_p427.jpg]]
<도공족의 알>
<br>
## 도곤족(Dogon)
- 오랫동안 특별한 문화를 보존했던 서부아프리카 흑인 민족. 이들은 말리(Mali, 모리타니아와 알제리 사이 남쪽)에 있는 반디아가라(Bandiagara) 절벽(고원)에서 살며, 인구는 약20만 이다.
- 제의적 예술(소조각상과 마스크)은 간결(dépouillé) 간소(austère)하다. 도곤족에 관한 중요한 작업은 그리올(Marcel Griaule, 1898-1956)의 작업이 있다.
- 그리올(Marcel Griaule 1898-1956) 프랑스 민족학자. Dieu d'eau(1948), Renard pâle(1965), (AO 181)]
<br>
- ChatGPT
들뢰즈와 가타리의 《천 개의 고원》(Mille Plateaux)에서 언급되는 "도공(Dogon)족"은 서아프리카 말리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그들의 문화, 신화, 우주론, 종교적 의식 등이 독특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도공족의 문화를 철학적 논의의 맥락에서 사용하여 다양한 개념을 설명합니다.
### 도공족과 그들의 우주론:
도공족의 신화와 우주론은 복잡한 상징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우주의 기원, 인간의 역할, 자연과의 관계 등을 풍부한 상징과 신화로 설명합니다. ==도공족의 신화에는 "알"과 같은 상징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생성과 창조, 생명의 기원 등을 나타냅니다.==
### 《천 개의 고원》에서의 도공족:
들뢰즈와 가타리는 도공족의 우주론과 신화를 통해 복잡한 철학적 개념을 설명합니다. 특히, 그들은 도공족의 상징 체계를 사용하여 현실과 잠재성, 생성의 과정 등을 설명합니다. 도공족의 신화적 우주론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말하는 "생성"이나 "리좀적 사고"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이들은 고정된 질서나 중심이 없는, 무한히 확장되고 연결될 수 있는 사유의 방식을 지지합니다.
### 도공족의 신화적 알과 생성:
==도공족 신화에서 중요한 상징 중 하나는 "알"입니다. 알은 잠재성의 상징으로,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가능성을 담고 있으며, 특정한 조건에서만 발현될 수 있습니다. 이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말하는 생성의 개념과 일치합니다. 생성은 기존의 질서나 구조를 탈피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과정이며, 이는 도공족의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철학적 의미:
==들뢰즈와 가타리는 도공족의 문화를 단순히 인류학적 연구 대상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신화와 상징 체계를 통해 서구 철학에서 다루기 어려운 개념들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도공족의 신화는 고정된 질서나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서는 사고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이는 《천 개의 고원》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철학적 개념들—예를 들어 탈영토화, 리좀적 사고, 생성과 같은—과 깊이 연결됩니다.
결론적으로, 《천 개의 고원》에서 언급되는 도공족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적 논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문화와 신화는 복잡한 철학적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도공족의 상징 체계는 고정된 구조를 넘어서서 무한한 가능성을 탐구하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적 접근과 일치합니다.
<br>
- Claude
『천개의 고원』(또는 『천의 고원』)에서 언급되는 도공(Dogon)족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도공족 소개:
- 서아프리카 말리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
- 복잡하고 독특한 우주론과 신화 체계로 유명
2. 『천개의 고원』에서의 언급:
- 들뢰즈와 가타리는 도공족의 사상을 서구적 사고방식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
- 특히 그들의 우주론과 '알(egg)' 개념에 주목
3. 도공족의 우주론:
- 우주의 기원과 구조에 대한 복잡한 설명 체계
- 다중성과 변화를 중시하는 세계관
4. '알' 개념:
- ==우주의 기원과 생성을 상징==
- ==잠재성과 현실화의 과정을 나타냄==
5. 철학적 의의:
- 비선형적, 비이원론적 사고의 예시
- 서구의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서는 사유 방식 제시
6. 리좀적 사고:
- ==도공족의 사고방식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 개념과 연결됨==
- ==중심이 없고 다양한 연결이 가능한 사고 구조==
7. 문화 상대주의적 접근:
- 비서구 문화의 사상을 통해 서구 철학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
8. 신화와 과학의 경계:
- 도공족의 지식 체계는 신화와 과학의 경계를 흐림
- 지식의 다양한 형태에 대한 재고를 촉구
들뢰즈와 가타리는 도공족의 사례를 통해 서구 중심적 사고의 한계를 지적하고, 보다 유동적이고 다중적인 사고 방식의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이는 그들의 철학적 프로젝트인 차이와 생성의 사유, 그리고 고정된 구조를 벗어나는 사고를 뒷받침하는 사례로 활용됩니다.
<br>
## 도공족의 신화(낮과 밤)
- Perplexity
==도곤(Dogon)족의 신화에 따르면, 우주는 거대한 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알은 '아두노 탈(aduno tal)'이라고 불리며, 내부에서 맥동하기 시작하여 일곱 번 흔들린 후 나선형으로 껍질이 부서지면서 우주의 끝까지 확장되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창조가 시작되었고, 도곤족은 시리우스(Sirius) 별이 이 모든 것이 시작된 하늘의 위치를 표시한다고 믿습니다[2].==
도곤 신화에서 창조신 아마(Amma)는 태양과 달을 진흙 원반으로 만들고, 별들을 우주에 던진 진흙 알갱이로 만들었습니다. 또한 ==두 쌍의 남녀 쌍둥이 영적 존재를 창조==했는데, 첫 번째 쌍둥이 중 남자가 예정된 시간보다 일찍 태어나면서 그의 출생 주머니의 일부가 우주로 날아가 지구 어머니가 되었다고 합니다[2].
도곤족은 또한 '옴모(Nommo)'라는 수생 생명체가 지구에 와서 도곤족을 최초의 인간으로 창조했다고 믿습니다. 이 생명체들은 시리우스 별 시스템에서 왔다고 전해지며, 도곤족의 신화와 우주론에 깊이 얽혀 있습니다[1][2]. 이러한 신화는 도곤족의 문화와 생활 방식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으며, 그들의 사회적, 종교적 관습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itations:
[1] https://hiddencompass.net/story/children-of-the-dog/
[2] https://tishfarrell.com/2018/04/16/how-the-universe-began-the-dogon-view/
[3] https://en.wikipedia.org/wiki/Dogon_people
[4] https://www.aquariusmood.com/articles/sigi-tolo-dogon-essay
[5] https://www.crystalinks.com/dogon.html
[6] https://umsl.edu/~naumannj/Geography%201001%20articles/ch%207%20language%20%26%20religion%20in%20culture/Sacred%20Sites%20of%20the%20Dogon%20in%20Mali.doc
[7] https://www.aip.org/sites/default/files/history/teaching-guides/night-sky-another-name/The%20Night%20Sky%20by%20Another%20Name_Myths%20Handout.pdf
[8] https://m.cafe.daum.net/milletune/REMJ/18
<br>
- Copilot
도곤(Dogon)족의 신화에서 낮과 밤은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도곤족은 서아프리카 말리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그들의 신화와 전통은 매우 독특합니다.
==도곤족의 신화에 따르면, 낮과 밤은 우주와 인간의 조화를 상징합니다. 낮은 태양의 신인 아마(Ama)에 의해 지배되며, 빛과 생명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반면, 밤은 달의 신인 노모(Nomo)에 의해 지배되며, 어둠과 휴식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이 두 신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며, 낮과 밤의 순환을 통해 우주의 균형을 유지한다고 믿습니다.==
도곤족의 신화는 또한 낮과 밤의 순환을 통해 인간의 삶과 죽음, 그리고 재생을 설명합니다. 낮은 생명과 활동의 시간으로, 밤은 죽음과 휴식의 시간으로 여겨지며, 이 두 시간대의 반복을 통해 생명의 지속성을 강조합니다.
<br>
- Claude
도공(Dogon) 혹은 도곤족의 신화에서 낮과 밤에 대한 해석은 그들의 복잡한 우주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들의 해석을 살펴보면:
1. 우주의 구조:
- ==도공족은 우주를 두 개의 쌍둥이 태아 형태로 상상합니다.==
- ==이 쌍둥이는 각각 낮과 밤을 대표합니다.==
2. 낮의 상징:
- 남성적 원리와 연관됩니다.
- 빛, 열, 건조함을 상징합니다.
- 의식적인 활동과 관련됩니다.
3. 밤의 상징:
- 여성적 원리와 연관됩니다.
- 어둠, 습기, 차가움을 상징합니다.
- 무의식과 영적 활동과 관련됩니다.
4. 순환의 개념:
- 낮과 밤은 끊임없이 순환하는 것으로 봅니다.
- 이 순환은 우주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5. 창조 신화:
- ==우주 창조의 과정에서 낮과 밤의 분리가 중요한 단계로 여겨집니다.==
- ==이 분리는 질서의 시작을 나타냅니다.==
6. 의례와 관련성:
- 많은 도공족의 의례들이 낮과 밤의 상징성을 반영합니다.
- 특정 의례는 낮이나 밤에만 수행됩니다.
7. 농업과의 연관:
- 낮과 밤의 순환은 농업 주기와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 이는 도공족의 생활 리듬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8. 우주적 조화:
- 낮과 밤의 균형은 더 큰 우주적 조화의 일부로 여겨집니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러한 도공족의 복잡한 세계관에 주목했습니다. 그들에게 이는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서는 다중적이고 역동적인 사유의 예시였습니다. ==도공족의 낮과 밤에 대한 해석은 단순한 대립이 아닌, 상호 보완적이고 순환적인 관계를 보여주며, 이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적 관점과 공명합니다.==
도공(Dogon)족의 신화에서 낮과 밤의 신에 대한 개념은 그들의 복잡한 우주관의 일부입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아마 신(Amma):
- 도공족 신화의 최고신
- 우주 창조의 주체로, 낮과 밤을 모두 포함하는 존재
2. 노모 신(Nommo):
- 아마 신이 창조한 영적 존재들
- 낮과 밤의 질서를 관장하는 역할
3. 낮의 신:
- 이름: 정확한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보통 태양과 연관됨
- 특징: 남성적 원리, 열, 빛, 건조함과 관련
- 역할: 낮 동안의 활동과 생산성을 관장
4. 밤의 신:
- 이름: 역시 특정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달과 연관됨
- 특징: 여성적 원리, 습기, 어둠, 차가움과 관련
- 역할: 밤 동안의 휴식, 재생, 영적 활동을 관장
5. 쌍둥이 개념:
- 낮과 밤의 신은 종종 쌍둥이 형제나 자매로 묘사됨
- 이는 우주의 이원성과 동시에 통일성을 상징
6. 순환의 상징:
- 두 신의 교대는 우주의 순환적 본질을 나타냄
- 이는 생명의 주기, 농경 주기와 연결됨
7. 의례적 중요성:
- 각 신에게 바치는 의례가 있으며, 이는 주로 해당 시간대에 수행됨
- 예를 들어, 낮의 신에게는 정오경에, 밤의 신에게는 자정경에 의례를 행할 수 있음
8. 균형의 개념:
- 두 신 사이의 균형은 우주의 조화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
- 이 균형이 깨지면 혼돈이 올 것이라고 믿음
9. 창조 신화와의 연관:
- 낮과 밤의 분리는 우주 창조의 중요한 단계로 여겨짐
- 이 분리 과정에서 각 신의 역할이 정립됨
도공족의 이러한 신화적 개념은 단순한 이분법을 넘어서는 복잡한 세계관을 보여줍니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러한 비서구적 사고방식에 주목하여, 서구의 이원론적 사고를 넘어서는 다중적이고 유동적인 사유의 가능성을 탐구했습니다. 도공족의 낮과 밤의 신 개념은 대립이 아닌 상호보완과 순환의 원리를 강조하며, 이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적 관점과 resonates합니다.
<br>
- ChatGPT
도곤(Dogon)족의 신화에서 낮과 밤은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며, 이들은 우주론적이고 영적인 관점에서 해석됩니다. 도곤족의 신화는 자연과 우주의 질서, 그리고 인간의 삶과 관련된 복잡한 상징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낮과 밤의 상징성:
==도곤족의 신화에서 낮과 밤은 우주의 균형과 조화를 나타내며, 이는 세계의 창조와 지속적인 변화, 그리고 재생을 상징합니다. 낮과 밤은 서로 대립적인 관계에 있지만, 동시에 이 대립은 우주의 질서를 유지하고, 생명과 자연의 순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1. **낮**: 도곤족 신화에서 낮은 빛과 생명, 활동을 상징합니다. 낮은 태양의 힘을 나타내며, 창조적이고 생명력이 넘치는 시간으로 여겨집니다. 낮의 빛은 우주와 인간에게 에너지를 주고, 생명의 활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2. **밤**: 밤은 어둠과 휴식, 그리고 영적인 세계와의 연결을 상징합니다. 도곤족은 밤을 정화와 재생의 시간으로 보며, 이는 우주와 인간의 영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시간입니다. 밤은 또한 신비와 숭배의 대상이 되며, 우주의 깊은 진리와 연결되는 시간으로 이해됩니다.
### 우주론적 해석:
도곤족의 우주론에서는 낮과 밤의 교대가 단순한 자연 현상이 아니라, 우주적 질서의 반영으로 이해됩니다. 이들은 낮과 밤의 주기적 교대가 우주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균형은 인간의 삶과 자연의 질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도곤족의 종교적 의식과 신앙 체계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 신화적 인물과 상징:
도곤족 신화에는 낮과 밤을 다스리거나 이와 관련된 신적 존재들이 등장할 수 있으며, 이들은 우주의 창조와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신적 존재들은 낮과 밤의 순환을 주관하며, 이를 통해 우주의 조화와 균형을 유지합니다.
결론적으로, 도곤족의 신화에서 낮과 밤은 우주의 질서와 조화,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깊은 관계를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이들은 단순히 물리적인 현상이 아니라, 영적인 의미와 우주론적 질서를 반영하는 상징적 개념으로 이해됩니다.
<br>
# References
<br>
# Links
<br>
# Tags
#philosophy #deleuze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