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br>
## Why? (목적 - 왜 기록하는가?)
- 들뢰즈 철학 <노마디즘>을 공부하며 의미를 검색
## How? (방법 - 어떻게 활용할까?)
-
## What? (결과 - 무엇을 창조할까?)
- Obsidian Publish
<br>
# Summary
<br>
## ChatGPT
들뢰즈 철학에서 "내재성"(immanence)은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그의 전체 철학적 체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내재성은 들뢰즈의 존재론, 윤리학, 그리고 그의 정치철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중심적인 개념으로 등장합니다. ==이 개념은 전통적인 초월적(transcendence) 사유와 대비==되며, 들뢰즈가 고유한 방식으로 철학적 문제를 다루는 방식을 보여줍니다.
### 1. **내재성과 초월성의 대비:**
- 전통적인 철학에서는 종종 초월성(transcendence)이 강조되었습니다. 초월성은 존재나 진리가 인간 경험이나 세계 바깥에 위치해 있다는 생각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플라톤의 이데아는 초월적인 세계에 존재하며, 우리의 경험 세계를 넘어서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 이에 반해, ==들뢰즈는 내재성을 강조합니다. 내재성은 모든 존재와 진리가 세계와 경험 안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들뢰즈에게 내재성은 어떠한 외부적 기준이나 초월적 권위에 의존하지 않고,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 2. **내재성의 평면(Plane of Immanence):**
- ==들뢰즈는 내재성을 일종의 평면(plane)으로 설명합니다. 내재성의 평면(Plane of Immanence)은 모든 존재와 사건이 펼쳐지는 근본적인 장(field)을 나타냅니다. 이 평면은 모든 존재와 사건이 함께 연결되어 있는 장이며, 이 평면 위에서는 어떠한 초월적 원리나 외부적 기준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 내재성의 평면 위에서는 모든 사건과 존재가 동등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존재는 이 평면 위에서 스스로 의미를 만들어갑니다. 이 평면은 유동적이고 변화하는 장으로, 고정된 중심이나 계층 구조 없이 존재와 사건들이 서로 상호작용합니다.
### 3. **생성과 차이:**
- ==내재성은 들뢰즈 철학에서 생성(becoming)과 차이(difference) 개념과도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내재성의 평면 위에서는 고정된 본질이나 형태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것이 끊임없이 생성되고 변화합니다. 이 평면에서는 차이가 창조적 힘으로 작용하며, 새로운 존재와 사건이 끊임없이 출현합니다.==
- 내재성의 평면에서 생성과 차이는 외부적인 기준이나 초월적 원리에 의해 규정되지 않고, 그 자체로 의미와 가치를 만들어냅니다. ==들뢰즈는 이러한 생성과 차이가 바로 내재성의 평면에서의 핵심적인 요소라고 봅니다.==
### 4. **윤리적, 정치적 의미:**
- 내재성은 윤리적, 정치적 맥락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들뢰즈는 윤리와 정치에서 초월적 기준(예: 절대적 도덕법칙이나 신성한 권위)에 의존하지 않고, 내재적 관계와 상황 속에서 의미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예를 들어, 윤리적 판단은 초월적인 도덕적 기준에 따라 내려지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상황과 관계 속에서 결정되어야 합니다. 이는 각 상황이 가지는 독특한 내재적 요소들을 존중하며, 그것을 통해 새로운 윤리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방식입니다.
### 5. **실천적 적용:**
- 내재성의 개념은 또한 일상적인 실천과 철학적 사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내재성의 평면 위에서는 모든 사건과 경험이 가치 있게 다루어지며, 고정된 규범이나 외부의 권위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의미를 구성해나갑니다.
- 이는 또한 창조적 실천의 토대를 이루며, 예술, 철학, 정치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원동력이 됩니다.
### 결론:
들뢰즈 철학에서 "내재성"은 모든 존재와 사건이 초월적 기준 없이, 세계와 경험 안에서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내재성의 평면은 모든 것이 상호작용하며, 끊임없이 생성되고 변화하는 장으로, 차이와 생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윤리적, 정치적 맥락에서도 내재성은 초월적 기준에 의존하지 않고, 구체적인 상황과 관계 속에서 의미와 가치를 탐구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는 들뢰즈 철학의 핵심적인 사유 방식이며, 그의 철학적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br>
## Claude
들뢰즈 철학에서 '내재성'(immanence)은 핵심적인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정의:
- 내재성은 모든 것이 단일한 존재 평면 내에 있다는 개념입니다.
- 초월적 원리나 외부적 원인 없이 모든 것이 자체 내에서 설명된다는 사상입니다.
2. 초월성과의 대비:
- 내재성은 초월성(transcendence)과 대비됩니다.
- 초월적 사고가 현실 너머의 원리를 상정한다면, 내재적 사고는 현실 자체 내에서 모든 것을 설명하려 합니다.
3. 내재성의 평면:
- 들뢰즈는 '내재성의 평면'(plane of immanence)이라는 개념을 제시합니다.
- 이는 모든 존재와 사건이 발생하는 단일한 존재론적 장을 의미합니다.
4. 생성과 차이:
- 내재성의 사고는 고정된 본질이나 정체성 대신 지속적인 생성과 차이를 강조합니다.
- 모든 것은 내재적 관계와 과정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성됩니다.
5. 철학적 함의:
- 이원론적 사고의 거부: 정신과 물질, 주체와 객체 등의 이분법을 넘어섭니다.
- 위계적 구조의 해체: 모든 것이 동일한 존재론적 평면에 있다고 봅니다.
6. 윤리적 측면:
- 내재성의 사고는 현실 세계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함축합니다.
- ==초월적 가치나 목적 대신 현재의 삶과 경험을 중시합니다.==
7. 스피노자의 영향:
- ==들뢰즈의 내재성 개념은 스피노자의 철학에서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 스피노자의 '신 즉 자연'(Deus sive Natura) 개념과 연결됩니다.
8. 정치적 함의:
- 내재성의 사고는 수평적, 비위계적 사회 구조를 지지하는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 권력의 중앙집중화에 대한 비판과 연결됩니다.
9. 예술과 창조성:
- 예술 창작을 내재적 과정으로 이해합니다.
- 작품은 초월적 영감의 결과가 아닌, 내재적 실험과 탐구의 산물로 봅니다.
10. 과학과의 연관성:
- ==복잡계 이론, 카오스 이론 등 현대 과학의 일부 개념들과 연결됩니다.==
- 자기조직화, 창발성 등의 개념과 공명합니다.
11. 한계와 비판:
- 초월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됩니다.
- 절대적 내재성의 가능성에 대한 철학적 논쟁이 있습니다.
들뢰즈의 내재성 개념은 그의 철학 전반을 관통하는 중요한 사상으로, 존재, 사유, 윤리, 정치, 예술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전통적인 철학적 사고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을 제시하며, 새로운 사유와 실천의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br>
## Copilot
[들뢰즈의 철학에서 내재성(immanence)은 **존재가 외부의 초월적 원리나 실체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내재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https://en.wikipedia.org/wiki/Plane_of_immanence)[1](https://en.wikipedia.org/wiki/Plane_of_immanence)[2](https://www.diva-portal.org/smash/get/diva2:406664/FULLTEXT01.pdf;Gilles). 이는 전통적인 철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초월(transcendence) 개념과 대조됩니다.
### 내재성의 주요 개념
1. [**내재성의 평면(Plane of Immanence)**: 내재성의 평면은 **모든 존재와 사건이 발생하는 기초적인 장**을 의미합니다](https://en.wikipedia.org/wiki/Plane_of_immanence)[1](https://en.wikipedia.org/wiki/Plane_of_immanence). 이 평면은 특정한 실체나 형식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존재하며, 모든 것이 이 평면 위에서 발생합니다.
2. [**초월의 부정**: 들뢰즈는 **초월적 원리나 실체를 부정**하고, 모든 존재와 사건이 내재성의 평면 위에서 발생한다고 주장합니다](https://en.wikipedia.org/wiki/Plane_of_immanence)[1](https://en.wikipedia.org/wiki/Plane_of_immanence). 이는 전통적인 이원론(예: 정신과 물질, 신과 자연)을 거부하는 것입니다.
3. [**욕망과 내재성**: 들뢰즈는 욕망을 **내재적인 힘**으로 보며, 욕망이 외부의 초월적 원리에 의해 규정되지 않고, 스스로 생성하고 변형된다고 봅니다](https://en.wikipedia.org/wiki/Plane_of_immanence)[2](https://www.diva-portal.org/smash/get/diva2:406664/FULLTEXT01.pdf;Gilles).
### 내재성의 철학적 의미
==내재성은 들뢰즈 철학에서 **존재와 사건의 자율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모든 것이 내재성의 평면 위에서 발생하며, 외부의 초월적 원리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내재성은 **자율적이고 창조적인 존재 방식**을 지향합니다](https://en.wikipedia.org/wiki/Plane_of_immanence)[1](https://en.wikipedia.org/wiki/Plane_of_immanence).
### 예시
내재성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자연**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자연은 외부의 초월적 원리에 의해 규정되지 않고, 스스로 존재하며, 다양한 생명체와 현상이 내재성의 평면 위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자연이 자율적이고 창조적인 방식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들뢰즈 철학에서 **자율성과 창조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https://en.wikipedia.org/wiki/Plane_of_immanence)[1](https://en.wikipedia.org/wiki/Plane_of_immanence): [](https://en.wikipedia.org/wiki/Plane_of_immanence)[2](https://www.diva-portal.org/smash/get/diva2:406664/FULLTEXT01.pdf;Gilles):
<br>
## Perplexity
들뢰즈 철학에서 내재성(immanence)의 개념은 그의 사상의 핵심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개념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내재성의 의미와 중요성
내재성은 들뢰즈 철학이 도달한 최고의 경지를 나타내며, 그의 사유의 정수를 보여줍니다[4]. 이는 초월성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생명과 존재에 대한 새로운 이해 방식을 제시합니다.
1. **생의 긍정**: 내재성은 유한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구체적 삶의 세계를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철학적 태도입니다[4].
2. **초월성의 거부**: 들뢰즈는 초월적 원리나 외재적 기준에 의존하지 않고, 생에 고유한 기준으로 생을 설명하고자 합니다[4].
3. **창조의 원천**: 내재성은 철학적 개념 창조의 근원이 되며, 기존 개념들이 무화되는 원점으로의 회귀를 가능하게 합니다[4].
## 내재성의 특징
1. **잠재성과 현실태의 관계**: 들뢰즈는 내재성을 통해 잠재적인 것이 현실태로 파생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3].
2. **과정의 강조**: ==내재성은 존재의 움직임이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모든 변화는 이 과정의 지속적인 갱신을 통해 이루어집니다[3].
3. **무한한 운동성**: ==내재성은 카오스에서 오는 무한한 가역운동의 세계를 의미합니다.== 이는 철학적 창조의 근간이 됩니다[4].
## 내재성과 철학사
들뢰즈의 내재성 개념은 철학사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1. **스피노자의 영향**: 스피노자는 신을 초월적 원인이 아닌 내재적 원인으로 보았으며, 이는 들뢰즈의 내재성 개념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3].
2. **칸트와의 차이**: 칸트도 내재적 사유를 추구했지만, 들뢰즈는 칸트의 내재성이 '선험적 주체'에 갇혀 있다고 비판합니다[3].
3. **아리스토텔레스와의 구분**: 들뢰즈의 잠재적인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잠재태와는 구별됩니다[3].
## 내재성의 철학적 함의
1. **개념 생산의 원리**: 들뢰즈는 내재성을 개념 생산의 가장 근본적인 원리로 봅니다[3].
2. **사유의 새로운 방식**: 내재성은 감각의 강요에 의해 시작되는 수용적 사유를 강조합니다[3].
3. **생의 긍정**: 내재성은 생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고, 그 안에서 의미를 찾는 철학적 태도를 제시합니다[4].
들뢰즈의 내재성 개념은 그의 철학 전반을 관통하는 핵심 아이디어로, 존재와 사유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합니다. 이는 초월성에 기반한 전통 철학에 대한 도전이자, 생명과 창조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
Citations:
[1] https://m.cafe.daum.net/milletune/REMJ/1
[2] https://nomadiaphilonote.tistory.com/147
[3] https://happymemo.tistory.com/entry/%EB%82%B4%EC%9E%AC%EC%84%B1%EC%9D%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4] https://jiwoonism.tistory.com/216
[5] https://nomadiaphilonote.tistory.com/9
[6] https://www.youtube.com/watch?v=SNP13cm_UNE
[7]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4049651
[8] http://m.artnstudy.com/n_lecture/LecDetail.asp?LessonIdx=jhjo03
<br>
## Gemini
### 들뢰즈 철학에서의 내재성(immanence)
==들뢰즈 철학에서 **내재성**은 모든 것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어떤 초월적인 존재나 원리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내재성은 존재하는 모든 것이 내면으로부터 생성되고 발전한다는 철학적 원리입니다.==
### 내재성의 핵심 개념
- **자기 생성:** 내재적인 존재는 외부의 개입 없이 스스로를 생성하고 변화시킵니다.
- **연결성:** 모든 존재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변화는 다른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칩니다.
- **비초월성:** 내재성은 초월적인 신이나 이념과 같은 외부의 원리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모든 것은 내재적인 힘에 의해 움직입니다.
- **다양성:** 내재적인 세계는 단일하고 통일된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내재성의 의미
- **존재론적 전환:** 들뢰즈는 내재성을 통해 기존의 형이상학적 사유를 넘어서는 새로운 존재론을 제시합니다. 기존의 철학이 초월적인 존재를 전제했다면, 들뢰즈는 모든 것이 내재적인 힘에 의해 움직인다고 주장합니다.
- **변화와 생성의 강조:** 내재성은 고정된 존재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성되는 세계를 강조합니다.
- **다원주의적 세계관:** 내재성은 단일한 진리나 가치를 부정하고, 다양한 존재 방식의 공존을 인정합니다.
### 내재성의 예시
- **자연:** 자연은 외부의 설계자가 없이 스스로 진화하고 변화합니다.
- **사회:** 사회는 개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 형성되고 변화합니다.
- **예술:** 예술 작품은 작가의 내면 세계와 사회적 맥락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됩니다.
### 내재성과 다른 개념과의 비교
- **초월성:** 내재성은 초월성의 반대 개념입니다. 초월성은 어떤 존재가 다른 존재를 초월하거나 뛰어넘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실체:** 내재성은 고정된 실체보다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 **주체:** 내재성은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을 넘어서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고 봅니다.
### 결론
들뢰즈 철학에서 내재성은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을 제시합니다. 내재성은 우리에게 존재하는 모든 것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성된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이러한 관점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참고:** 들뢰즈의 내재성은 매우 추상적인 개념이므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합니다. 위 설명은 들뢰즈 철학의 한 가지 해석을 제시한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더 깊이 있는 논의를 할 수 있습니다.**
- 들뢰즈 철학에서 내재성과 기존 철학의 존재론과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 내재성의 개념을 예술 작품 분석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 들뢰즈 철학에서 내재성과 함께 중요하게 다뤄지는 개념은 무엇이 있을까요?
**키워드:** 들뢰즈, 내재성, immanence, 철학, 존재론, 변화, 생성, 연결성
<br>
# References
<br>
# Links
[[리좀]]
<br>
# Tags
#philosophy #deleuze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