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br>
## Why? (목적 - 왜 기록하는가?)
- 들뢰즈 철학 <노마디즘>을 공부하며 의미를 검색
## How? (방법 - 어떻게 활용할까?)
-
## What? (결과 - 무엇을 창조할까?)
- Obsidian Publish
<br>
# Summary
==일관성의 구도==는 단순히 모든 기관 없는 신체〔의 합계〕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다. 일관성의 구도가 거부하는 기관 없는 신체도 있는 것이다. 〔기관 없는 신체들을〕선별하는 것은 바로 일관성의 구도다. 그것은 그것을 그리는(trace) 추상기계를 통해 선별한다. 심지어 하나의 기관 없는 신체(예컨대 마조히즘의 신체, 약물중독자의 신체 등등) 내부에서도 우리는〔일관성의〕구도 상에서 구성될 수 있는 것과 구성될 수 없는 것을 구별해야 한다. (MP, 204; I, 173-74)
여기서 일관성의 구도란 어떤 양상의 신체도 될 수 있는 잠재성의 지대를 표시하는 표지판이지요.
<노마디즘 1>, p.488~489
<br>
## ChatGPT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에서 '일관성의 구도'는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특정한 신체나 시스템이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이는 신체나 시스템이 가지는 다양한 가능성 중에서 어떤 것들이 현실화되고, 또 어떤 것들이 배제되는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 1. **일관성의 구도란?**
- =='일관성의 구도'(plane of consistency)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다양한 요소들이 어떻게 결합하고 유지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개념입니다.== 이는 다양한 가능성과 잠재성들이 구체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체계나 신체로 존재하게 만드는 원리를 의미합니다.
- ==일관성의 구도는 단순히 모든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규칙이나 원리에 따라 가능성을 선별하고 조직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모든 가능성이 현실화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일관성을 가지고 유지될 수 있는 것들만이 선택됩니다.==
### 2. **기관 없는 신체와의 관계:**
- '기관 없는 신체'(Body without Organs, BwO)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고정된 기능과 구조를 넘어서, 더 유연하고 잠재력이 풍부한 신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개념입니다. 그러나 모든 기관 없는 신체가 일관성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 ==일관성의 구도는 기관 없는 신체들 중에서 어떤 신체가 그 구도 속에서 유지될 수 있는지, 즉 일관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마조히즘이나 약물중독자의 신체도 일종의 기관 없는 신체로 볼 수 있지만, 이들이 모두 일관성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일관성의 구도는 그 중에서 특정한 부분만을 현실화하고 유지시킵니다.
### 3. **추상기계와 선별:**
- ==일관성의 구도는 '추상기계'(abstract machine)를 통해 작동합니다. 추상기계는 다양한 요소들을 선별하고 조합하여, 하나의 일관된 시스템이나 신체를 형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어떤 가능성은 현실화되고, 다른 가능성은 배제됩니다.==
### 4. **잠재성과 현실화:**
- ==일관성의 구도는 잠재성의 영역을 표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이는 특정한 신체나 시스템이 가지는 모든 가능성을 나타내지만, 그 중에서 일관성을 가지는 것만이 현실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관성의 구도는 잠재성의 영역과 현실화되는 영역 사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요약:
'일관성의 구도'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복잡한 철학적 개념으로, 특정 신체나 시스템이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이는 다양한 가능성과 잠재성 중에서 어떤 것들이 현실화되고, 어떤 것들이 배제될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 추상기계를 통해 그 과정을 조정합니다. 일관성의 구도는 모든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규칙과 원리에 따라 선별된 가능성들만을 현실화하여 하나의 일관된 체계나 신체를 형성합니다.
<br>
## Claude
'일관성의 구도'(plane of consistency)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개념을 설명하겠습니다:
1. 정의:
- ==모든 잠재적 가능성이 공존하는 추상적 평면 또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 고정된 구조나 위계가 없는, 순수한 잠재성의 공간입니다.
2. 기관 없는 신체와의 관계:
- 모든 기관 없는 신체가 존재할 수 있는 잠재적 공간입니다.
- 그러나 모든 기관 없는 신체를 무조건 수용하지는 않습니다.
3. 선별 기능:
- 일관성의 구도는 어떤 기관 없는 신체가 구성될 수 있는지 선별합니다.
- ==이 선별 과정은 '추상기계'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4. 잠재성의 지대:
- 다양한 형태와 기능의 신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합니다.
- 고정된 정체성이나 기능을 넘어선 무한한 변화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5. 대비되는 개념:
- =='조직화의 평면'(plane of organization)과 대비됩니다.==
- 조직화의 평면이 고정된 구조와 기능을 나타낸다면, 일관성의 구도는 유동적이고 잠재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6. 창조와 변화의 공간:
- 새로운 연결, 결합, 변형이 가능한 창조적 공간입니다.
- 기존의 범주와 경계를 넘어서는 사고와 존재 방식을 가능케 합니다.
7. 철학적 함의:
- 고정된 본질이나 정체성 개념을 거부하고, 지속적인 변화와 생성을 강조합니다.
- 다양성과 차이를 긍정하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적 입장을 반영합니다.
8. 실천적 의미:
- 새로운 사고방식, 사회 구조, 예술 형태 등을 상상하고 실현할 수 있는 conceptual 공간을 제공합니다.
일관성의 구도는 고정된 구조나 정체성에서 벗어나, 무한한 잠재성과 변화 가능성을 탐구하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적 비전을 상징합니다. 이는 새로운 사유와 존재 방식을 모색하는 그들의 프로젝트의 핵심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br>
## Copilot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에서 '일관성의 구도’는 **기관 없는 신체**(Body without Organs, BwO)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구도는 단순히 모든 기관 없는 신체의 합계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기준에 따라 선별되고 구성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주요 의미
1. **선별과 구성**: 일관성의 구도는 기관 없는 신체들을 선별하고 구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모든 기관 없는 신체가 일관성의 구도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기준에 따라 선택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추상기계**: 일관성의 구도는 추상기계를 통해 그려지며, 이는 기관 없는 신체들을 선별하는 도구로 작용합니다. 추상기계는 일관성의 구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구성 가능성과 불가능성**: 하나의 기관 없는 신체 내부에서도 일관성의 구도 상에서 구성될 수 있는 것과 구성될 수 없는 것을 구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마조히즘의 신체나 약물중독자의 신체 내부에서도 이러한 구별이 필요합니다](https://m.blog.naver.com/bogildo570/120037490933)[1](https://m.blog.naver.com/bogildo570/120037490933)[2](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bGubun=SD&m201_id=10013114).
### 잠재성의 지대
==일관성의 구도는 **어떤 양상의 신체도 될 수 있는 잠재성의 지대**를 표시하는 표지판으로 작용합니다.== 이는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새로운 형태의 신체와 구조를 탐구할 수 있는 잠재성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이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에서 어떻게 더 구체적으로 적용되는지 궁금한 점이 있나요?
[](https://m.blog.naver.com/bogildo570/120037490933)[1](https://m.blog.naver.com/bogildo570/120037490933)[: 들뢰즈와 가타리, 분열분석의 기초개념들](https://m.blog.naver.com/bogildo570/120037490933) [2](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bGubun=SD&m201_id=10013114): 이진경 외:들뢰즈와 가타리, 분열분석의 기초개념들
<br>
## Perplexity
'일관성의 구도'(plan de consistance)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잠재성의 영역**: 일관성의 구도는 모든 가능한 연결과 관계의 잠재적 공간을 나타냅니다. 이는 어떤 특정한 형태나 구조로 고정되지 않은 순수한 가능성의 영역입니다.
2. **선별 기능**: 모든 기관 없는 신체를 무조건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기준에 따라 선별합니다. 이 선별 과정은 '추상기계'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3. **창조적 공간**: 새로운 연결과 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창조적 공간을 제공합니다. 이는 기존의 구조와 질서를 넘어서는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는 장입니다.
4. **비위계적 구조**: 중심이나 위계가 없는 수평적 구조를 가집니다. 이는 리좀적 사고와 연결됩니다.
5. **변화와 생성의 장**: 고정된 실체가 아닌 지속적인 변화와 생성의 과정을 포함합니다.
6. ==**강도의 연속체**: 형식과 실체를 넘어 강도(intensity)의 연속체를 구축합니다.==
일관성의 구도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에서 새로운 사고와 실천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는 기존의 고정된 구조와 사고방식을 넘어서는 창조적이고 유동적인 사고의 장을 제공합니다.
Citations:
[1] https://jiwoonism.tistory.com/215
[2] https://nomadiaphilonote.tistory.com/19
[3] https://happymemo.tistory.com/entry/18-%EC%88%98%EB%8F%99%EC%A0%81-%EC%A2%85%ED%95%A9-%EC%A0%91%EC%86%8D-%EC%9D%B4%EC%A0%91-%ED%86%B5%EC%A0%91
[4] https://namu.wiki/w/%ED%8C%8C%EC%8B%9C%EC%A6%98/%EC%9D%B4%EB%A1%A0
[5] https://happymemo.tistory.com/entry/6-%EA%B8%B0%EA%B4%80-%EC%97%86%EB%8A%94-%EC%8B%A0%EC%B2%B4%EC%97%90-%EA%B4%80%ED%95%98%EC%97%AC-%E2%80%9C%EC%9D%B8%EA%B0%84%EC%9D%80-%EC%9E%90%EC%8B%A0%EC%9D%B4-%EB%B3%B8%EB%9E%98-%EB%AC%B4%EC%97%87%EC%9D%B4%EB%9D%BC%EA%B3%A0-%EC%83%9D%EA%B0%81%ED%95%98%EB%8A%94%EA%B0%80%E2%80%9D
[6] https://namu.wiki/w/%ED%8C%8C%EC%8B%9C%EC%A6%98
[7] https://www.youtube.com/watch?v=MRjtdZpL9S8
[8] https://fastercapital.com/ko/content/%EB%AC%B4%ED%98%95-%EC%9E%90%EC%82%B0%EC%97%90-%EC%9D%B4%EC%A4%91-%EC%B2%B4%EA%B0%90-%EC%9E%94%EC%95%A1-%EA%B0%90%EA%B0%80%EC%83%81%EA%B0%81-%EC%A0%81%EC%9A%A9.html
<br>
# References
<br>
# Links
[[추상기계]]
<br>
# Tags
#philosophy #deleuze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