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인터넷은 리좀의 가장 적절한 비유다. ## 리좀의 몇 가지 특징들 1) 접속의 원리 - p.91 2) 이질성의 원리 - p.94 3) 다양성의 원리 - p.95 4) 비의미적 단절의 의미 - p.101 5) 지도 그리기와 전사술 - p.105 <노마디즘 1> <br> ## Why? (목적 - 왜 기록하는가?) - 들뢰즈 철학 <노마디즘>을 공부하며 의미를 검색 ## How? (방법 - 어떻게 활용할까?) - ## What? (결과 - 무엇을 창조할까?) - Obsidian Publish <br> # Summary ![[들뢰즈_리좀_수목-뿌리줄기-리좀구조.jpg]] ![[들뢰즈_리좀.jpg]] ![[들뢰즈_리좀_수목구조vs리좀구조.jpg]] ![[들뢰즈_리좀_수염뿌리.jpg]] <br> ## ChatGPT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에서 '**리좀**'(Rhizome)은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전통적인 사고방식을 탈피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세계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리좀은 식물학에서 차용한 용어로, 땅속을 기어가며 자라는 뿌리줄기를 의미합니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 개념을 철학적으로 확장하여, 비선형적이고 비위계적인 사고방식을 설명하는 데 활용합니다.== ### 리좀의 주요 특징: 1. **비위계적 구조:** - 전통적인 사고는 주로 '나무' 구조에 비유됩니다. 나무 구조는 뿌리에서 줄기로, 줄기에서 가지로, 가지에서 잎으로 이어지는 위계적이고 선형적인 방식으로 구성됩니다. 그러나 리좀은 이러한 위계 구조를 따르지 않습니다. ==리좀은 중심이나 고정된 질서가 없으며, 모든 부분이 서로 평등하게 연결될 수 있는 비위계적 구조입니다.== 2. **비선형적 연결:** - ==리좀은 시작과 끝이 없습니다. 리좀에서는 어디서든 연결이 가능하며, 하나의 부분이 다른 부분으로 자유롭게 연결됩니다.== 이러한 비선형적 연결 방식은 리좀을 다양한 가능성과 변화를 만들어내는 유연한 구조로 만듭니다. 예를 들어, 리좀 구조에서는 한 가지 생각이 다른 생각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이 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나 의미가 생성됩니다. 3. **다양한 접속과 탈영토화:** - ==리좀은 특정한 경로나 목적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을 형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질서나 경계를 넘어서 새로운 형태로 탈영토화(deterritorialization)되며, 다시 재영토화(reterritorialization)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리좀의 다차원적이고 유동적인 성격을 잘 보여줍니다. 4. **다중성과 다차원성:** - ==리좀은 여러 방향으로 무한히 확장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리좀이 다차원적이고 다중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좀 구조에서는 하나의 사건이나 아이디어가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되며, 그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와 가능성이 만들어집니다. 5. **개방적이고 유동적인 시스템:** - ==리좀은 고정된 체계가 아니라, 계속해서 변화하고 확장되는 개방적이고 유동적인 시스템입니다.== 이는 기존의 고정된 사고방식을 벗어나, 끊임없이 변형되는 사고방식을 강조하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적 입장을 반영합니다. ### 리좀의 예시: 리좀적 사고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인터넷:** 인터넷은 리좀적 구조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인터넷은 고정된 중심이 없고, 수많은 사이트와 정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새로운 사이트가 계속 추가되고 확장됩니다. - **언어:** 언어 역시 리좀적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단어와 의미는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맥에서 서로 연결되며 새로운 의미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 **교육:** 전통적인 교육은 나무 구조처럼 위계적일 수 있지만, 리좀적 교육은 학생들이 다양한 주제와 개념을 자유롭게 탐구하고 연결하도록 장려합니다. ### 요약: 리좀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전통적인 위계적이고 선형적인 사고방식을 비판하며 제시한 개념으로, 유동적이고 비위계적인 구조를 나타냅니다. 리좀은 중심이나 고정된 질서 없이, 어디서든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확장되는 개방적인 시스템을 상징합니다. 이를 통해 리좀은 사고와 세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며, 창조적이고 다차원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합니다. <br> ## Claude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리좀(Rhizome) 개념은 그들의 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이 개념을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1. 정의: - 리좀은 식물학에서 빌려온 용어로, 땅속에서 수평으로 뻗어나가는 뿌리줄기를 의미합니다. - 철학적으로는 비위계적이고 다중적인 연결 구조를 나타냅니다. ### 2. 나무 모델과의 대비: - 리좀은 전통적인 '나무' 모델(위계적, 이분법적 구조)과 대비됩니다. - 나무는 중심, 질서, 위계를 가지지만, 리좀은 그렇지 않습니다. ### 3. 주요 특징: a) 연결성: 어떤 점이든 다른 어떤 점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b) 이질성: 서로 다른 성질의 요소들이 연결될 수 있습니다. c) 다양성: 단일한 중심이나 구조가 없이 다양한 형태를 취합니다. d) 비의미적 단절: 끊어져도 다시 시작하거나 재구성될 수 있습니다. e) 지도 제작: 고정된 모델이 아닌 열린 지도처럼 변화합니다. f) 전사: 현실을 그대로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재구성합니다. ### 4. 적용 예시: - 인터넷: 중앙 통제 없이 다양한 노드가 연결된 네트워크 구조 - 하이퍼텍스트: 비선형적이고 다중적인 텍스트 연결 - 생태계: 다양한 생물종의 복잡한 상호작용 ### 5. 사고방식으로서의 리좀: - 고정된 구조나 중심 없이 유동적이고 창조적인 사고를 장려합니다. -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고 새로운 연결 가능성을 열어둡니다. ### 6. 사회적, 정치적 함의: - 중앙집권적 구조 대신 분산된 네트워크 형태의 조직을 제안합니다. - 소수자의 목소리와 다양한 관점을 포용하는 사회 모델을 시사합니다. ### 7. 지식과 학문에서의 의미: - 학제간 연구와 다양한 지식의 융합을 촉진합니다. - 고정된 학문 체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지식 생산 방식을 제안합니다. ### 8. 리좀적 사고의 실천: - 기존의 범주와 경계를 넘나드는 창조적 사고를 장려합니다. - 다양한 아이디어와 개념을 자유롭게 연결하고 실험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리좀 개념은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 사회를 이해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는 고정된 구조와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유연하고 창조적인 접근을 가능케 합니다. <br> ## Perplexity 들뢰즈 철학에서 리좀(Rhizome)의 개념은 전통적인 사고방식과 대비되는 새로운 관계 맺기 방식을 나타냅니다. 이 개념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리좀의 정의와 기원 리좀은 원래 식물학 용어로, 지하경 또는 뿌리줄기를 의미합니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 개념을 철학적으로 확장하여 사용했습니다. [^1] [^2] ### 리좀의 특징 1. **비중심성**: 리좀은 중심이 없고 시작과 끝이 불분명합니다[^2]. 2. **수평적 성장**: 수직적 깊이 대신 수평적으로 퍼져나가는 특성을 가집니다[^4]. 3. **연결성**: 어느 지점이든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닙니다[^4]. 4. **다양성**: 동일해 보이지만 각기 다른 형태로 성장합니다[^4]. 5. **유동성**: 자유롭고 유동적인 접속이 가능합니다[^4]. ### 수목 모델과의 대비 리좀 개념은 전통적인 '수목 모델'과 대비됩니다: | 리좀 모델 | 수목 모델 | |-----------|-----------| | 수평적, 비위계적 | 수직적, 위계적 | | 다중심적 | 단일 중심적 | | 유동적 연결 | 고정된 구조 | | 개방적, 포용적 | 폐쇄적, 배타적 | ### 리좀적 사고의 의의 1. **새로운 관계 맺기**: 리좀은 기존의 고정된 관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연결 방식을 제시합니다[^4]. 2. **다양성 존중**: 중심이 없는 구조는 다양한 관점과 존재를 인정합니다[^2]. 3. **창조적 사고**: 예측 불가능한 연결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관점을 생성합니다. 4. **유연한 대응**: 변화하는 환경에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사고방식을 제공합니다. 리좀 개념은 들뢰즈 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현대 사회의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와 다원적 관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됩니다[^2][^4]. <br> ## 네이버 블로그 ### **리좀(Rhizome) : 본질철학과 주체철학의 전복** ==들뢰즈와 가타리가 창안한 개념인 리좀(Rhizome)이란 개념은 극한의 실천적인 개념이다. 지금까지의 서양적 사고인 본질철학과 주체철학을 해석하고 비판하는 것을 넘어서서 리좀적 사고의 실천을 강조한다. 리좀은 철학상의 하나의 개념을 창조하는 것을 넘어, 사고를 실천하는 양식, 방법을 제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리좀’은 뿌리의 줄기를 의미하며 뿌리와는 구별된다. 리좀과 가장 확실하게 대비되는 것이 나무이다.== 들뢰즈, 가타리에 의하면 지금까지의 서양의 사고방식은 나무를 모델로 삼아왔다. ==나무와 뿌리를 모델로 하는 사고양식에는 항상 중심(초월적인 시점=신)이 존재하고, ‘그리고…그리고…’로 이어지는 연속성의 논리가 지배한다.== 정신분석학, 언어학, 계보학, 이원론에서도 드러나듯, 서양의 지식을 지탱하는 것은 이런 나무 형태의 사고라고 들뢰즈,가타리는 말한다. 그러나 여기서 하나의 가치에 대한 다양한 사고와는 다르다. ==나무 형태의 사고에도 다양성은 존재한다. 그러나 그 다양성은 중심을 가진 다양성이었다.== ==리좀은 다양성으로부터 1을 빼는 것, 즉 n-1의 다양성이다. 그래서 리좀은 중심이 없고 시작도 끝도 없다. 항상 중간, 사물의 틈, 존재의 사이, 간주곡이다.==들뢰즈와 가타리가 창안한 개념인 ‘리좀’은 대나무나 잔디, 고구마, 감자, 토란 등의 뿌리줄기처럼 위계를 알지 못하는 수평적 연결의 상이다. 나무에는 뿌리, 줄기, 잔가지, 잎 그리고 꽃과 열매가 있다. 나무는 좌우대칭의 잘 짜여진 구조이고 질서정연한 형태다. ==근대사회는 수목처럼 구조화되어 있으며 군대처럼 질서화되어 있고 피라미드처럼 위계적이다. 이 수목구조와 반대의 개념이 ‘리좀’ 구조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천개의 고원>에서 근대사회와 이성주의를 비판하는 개념으로 리좀을 차용했다. 동시에 그들은 ‘수목구조’라는 개념에 함의된 근대의 과학, 제도, 권력, 정주, 자본, 제국, 합리, 이성 등을 해체하는 한편 새로운 사유의 틀이 필요하다고 보고 ==‘리좀’에 다원적 무질서와 예측불가능의 우발성을 삽입했다. 이런 사유로부터 탄생한 리좀은 ‘망상조직과 같은 다양체’이며 여러 특질을 가진 다질성의 복합체다.== 수목구조는 모방과 동일성에 대해서 하나의 이념형, 원형이 있고 그것을 모방해서 유전적 방식으로 나눈 것이다. 아버지가 아들을 낳고, 아들이 또 아들을 낳고, 이런 식으로 내려가는 유전적 계열이다. 그러나 ==리좀구조는 수목구조나 유전적 계열과는 다른 수평적 네트워크의 개념이다.== 서구 근대철학이 세계의 중심을 상정할 때, 혹은 존재론적 근원을 상정할 때, 세상은 선형적(<span style="font-family: 'Noto Sans KR';">線形的</span>)으로 배열된다. 사물들은 근원과의 유사성을 준거로 평가되고 위계화된다. 들뢰와 가타리의 사유는 이런 근원을 파기하고, 근대적 주체를 파기한다. 이제 **==세계는 어떤 중심도 없는 장(<span style="font-family: 'Noto Sans KR';">場</span>)으로서, 관계들이 펼쳐져 있는 면(<span style="font-family: 'Noto Sans KR';">面</span>)으로서 이해된다.==** ==리좀은 여러 존재들이 복잡하게 접속되면서, ‘그리고’를 만들고 외적으로 부과되는 억압적 코드들로부터 탈주하는 장(<span style="font-family: 'Noto Sans KR';">場</span>)이다. 사물들 사이에서 늘 무슨 일인가가 일어난다. ‘사이들’은 늘 변해간다. 혼돈서질서가 형성되기도 하고 변형되기도 하고 해체되기도 한다. 이런 삶의 역동적 흐름을 따라가면서 세우고 변형시키고 해체시키는 것, 차이들에 생성을 도입하는 것, 이 사유가 ‘리좀(rhizome)’이다.== <br> # References [들뢰즈 철학의 개념들에 대하여...욕망이론, 리좀, 노마디즘, 탈영토화... : 네이버 블로그](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onwj823&logNo=221357412865&proxyReferer=https:%2F%2Fwww.bing.com%2F) <br> # Links [[내재성]] [[지층]] <br> # Tags #philosophy #deleuze <br> --- Citations: [^1]: [리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https://ko.wikipedia.org/wiki/%EB%A6%AC%EC%A2%80) [^2]: [인터넷과 리좀(Rhizome) : 네이버 블로그](https://m.blog.naver.com/shunzi75/221358297168) [^3]: [질 들뢰즈 : 사건과 리좀의 철학자(기초 이해편)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MRjtdZpL9S8) [^4]: [들뢰즈의 리좀: 새로운 유형의 관계 맺기](https://brunch.co.kr/%40franz-ny/472) [^5]: [‘리좀학(Rhizomatique)’의 가능성 - 들뢰즈 철학의 학문적 원리와 확장 - - 시대와 철학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KISS](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747010) [^6]: [artnstudy.com - 현대 철학의 기수 - 들뢰즈의 핵심 개념들.pdf](https://www.artnstudy.com/365/Img/039/%ED%98%84%EB%8C%80%20%EC%B2%A0%ED%95%99%EC%9D%98%20%EA%B8%B0%EC%88%98%20-%20%EB%93%A4%EB%A2%B0%EC%A6%88%EC%9D%98%20%ED%95%B5%EC%8B%AC%20%EA%B0%9C%EB%85%90%EB%93%A4.pdf) [^7]: [질 들뢰즈의 리좀 이론과 건축의 관계성 #1](https://ah-0620yoonseo.tistory.com/entry/%EC%A7%88-%EB%93%A4%EB%A2%B0%EC%A6%88%EC%9D%98-%EB%A6%AC%EC%A2%80-%EC%9D%B4%EB%A1%A0%EA%B3%BC-%EA%B1%B4%EC%B6%95%EC%9D%98-%EA%B4%80%EA%B3%84%EC%84%B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