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culmination==: (오랫동안 계속된 일의) 정점(최고조) - ==breakout year==: 대성공을 거둔 해, 돌파구를 마련한 해 - ==inflection point==: 전환점, 결정적 변화의 순간 - ==push the boundaries==: 한계를 뛰어넘다, 경계를 확장하다, 기존의 틀을 깨다 #### Why? (목적 - 왜 기록하는가?) - 영어 스터디 진행 상황을 트래킹 #### How? (방법 - 어떻게 활용할까?) - 학습 인증을 통해 지속적인 추진력을 얻는다. #### What? (결과 - 무엇을 창조할까?) - 눈에 띄는 표현을 외우고 활용한다. <br> # Summary - Speak aloud - ## Highlights - Wi-Fi 7 gear began to emerge in 2024, but it looks like 2025 will be the big year for rollouts.  - “Wi-Fi Certified 7 represents the ==culmination== of extensive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within Wi-Fi Alliance, facilitating worldwide product interoperability and a robust, sophisticated device ecosystem.” - While 2024 may well have been the ==breakout year== for the technology, with the first official certification and consumer devices deployment, 2025 might be the year where there is real growth. - IDC also sees 2025 as being a big year for Wi-Fi 7. “We expect 2025 to be an ==inflection point== for Wi-Fi 7 adoption,” Butler said. “By the end of 2025, we forecast about 17% of enterprise-class dependent AP revenue will be Wi-Fi 7, and by 2027, about half of new enterprise-class dependent AP revenues will be Wi-Fi 7.” - “Wi-Fi Certified 7 ==pushes the boundaries== of today’s wireless connectivity, and we expect Wi-Fi 7 adoption will build on the foundation laid by Wi-Fi 6, achieving similar or faster growth as the market becomes more accustomed to rapid technology advancements enabled by 6 GHz band,” Gallagher said. - Wi-Fi access point hardware typically undergoes refresh cycles spanning five to seven years. - Just because Wi-Fi 7 is now available and has the promise of improved performance doesn’t necessarily mean that every enterprise should rush to adopt it. <br> ## Words and Idioms ### culmination the highest point or end of something, usually happening after a long time (오랫동안 계속된 일의) 정점(최고조) ### breakout year - **"==breakout year=="의 의미** **"==breakout year=="**는 미국 영어에서 **"대성공을 거둔 해, 돌파구를 마련한 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 어떤 사람이 **큰 인기를 얻거나 성공을 거둔 해**, 또는 **기업이나 산업이 급성장한 해**를 의미합니다. - 주로 **스포츠, 연예, 비즈니스, 기술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 **자주 쓰이는 예제 문장** 1. **연예 및 미디어** - **2023 was the ==breakout year== for the young actress, as she starred in multiple hit movies.** (2023년은 그 젊은 여배우에게 돌파구를 마련한 해였다. 그녀는 여러 흥행 영화에 출연했다.) - **The band had its ==breakout year== in 2022, topping the music charts worldwide.** (그 밴드는 2022년에 대성공을 거두며 전 세계 음악 차트를 석권했다.) 2. **스포츠** - **It was a ==breakout year== for the rookie quarterback, who led his team to the playoffs.** (그 신인 쿼터백에게 올 한 해는 대성공이었다. 그는 팀을 플레이오프로 이끌었다.) - **The young basketball player had a ==breakout year==, averaging 25 points per game.** (그 젊은 농구 선수는 경기당 평균 25점을 기록하며 대단한 한 해를 보냈다.) 3. **비즈니스 및 기술** - **2021 was the company’s ==breakout year==, with sales doubling from the previous year.** (2021년은 그 회사가 대성공을 거둔 해였다. 매출이 전년 대비 두 배 증가했다.) - **It was a ==breakout year== for AI technology, with rapid advancements in machine learning.** (그 해는 AI 기술이 급성장한 해였다. 기계 학습에서 빠른 발전이 이루어졌다.) 4. **개인적인 성취** - **After years of struggling, 2020 became his ==breakout year== in the business world.** (수년간의 어려움을 겪은 후, 2020년은 그가 비즈니스 세계에서 성공한 해가 되었다.) - **Her ==breakout year== came when she launched her first successful startup.** (그녀의 대성공의 해는 첫 번째 스타트업을 성공적으로 출범시켰을 때였다.) --- - **비슷한 표현** - **Game-changing year** (결정적인 해) - **Turning point** (전환점) - **Breakthrough year** (돌파구가 된 해) - **Rise to fame** (명성을 얻은 해) --- - **주요 사용 맥락** - **연예/스포츠**: 배우, 가수, 운동선수의 대성공을 강조할 때. - **비즈니스/기술**: 스타트업, 회사, 산업이 급성장했을 때. - **개인적인 성공**: 인생에서 중요한 성취를 이룬 해를 강조할 때. **"==breakout year=="**는 **개인, 팀, 기업 등이 돌파구를 마련하고 크게 성공한 해를 의미**하며, 뉴스, 비즈니스, 스포츠 기사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 inflection point - **"==inflection point=="의 의미** **"==inflection point=="**는 미국 영어에서 **"전환점, 결정적 변화의 순간"**을 의미합니다. - 원래 **수학 용어**로, 그래프에서 곡선의 방향이 바뀌는 지점을 의미하지만, - 비즈니스, 경제, 기술, 개인의 삶에서 **중대한 변화가 일어나는 순간**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 **자주 쓰이는 예제 문장** 1. **비즈니스 및 경제** - **The company is at an ==inflection point== where it must decide whether to expand globally.** (그 회사는 글로벌 확장을 할지 결정해야 하는 전환점에 있다.) - **The tech industry reached an ==inflection point== with the ri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 산업은 인공지능의 부상과 함께 전환점을 맞았다.) 2. **개인적 성장 및 변화** - **Graduating from college was an ==inflection point== in her life.** (대학 졸업은 그녀 인생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 **After years of struggling, he reached an ==inflection point== in his career.** (몇 년간의 어려움 끝에 그는 커리어에서 전환점을 맞았다.) 3. **기술 및 혁신** - **We are at an ==inflection point== in the evolution of self-driving cars.** (우리는 자율주행차 기술의 발전에서 중요한 전환점에 서 있다.) - **The introduction of the iPhone was an ==inflection point== in the smartphone industry.** (아이폰의 등장은 스마트폰 산업의 전환점이었다.) 4. **정치 및 사회 변화** - **The pandemic served as an ==inflection point== for remote work adoption.** (팬데믹은 원격 근무 도입의 전환점이 되었다.) - **The civil rights movement was an ==inflection point== in American history.** (민권 운동은 미국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 - **비슷한 표현** - **Turning point** (터닝 포인트, 전환점) - **Pivotal moment** (결정적인 순간) - **Watershed moment** (획기적인 순간) - **Game-changer** (게임 체인저, 판도를 바꾸는 사건) --- - **주요 사용 맥락** - **비즈니스 및 경제**: 회사의 성장, 시장 변화, 산업 혁신 등을 논의할 때. - **개인적인 변화**: 인생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순간을 강조할 때. - **기술 혁신**: 새로운 기술이 기존 패러다임을 바꾸는 순간. - **사회적/정치적 변화**: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 발생한 시점. **"==inflection point=="**는 **결정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순간**을 강조할 때 사용되며, 특히 비즈니스, 경제, 기술 관련 뉴스나 분석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 push the boundaries - **"==push the boundaries=="의 의미** **"==push the boundaries=="**는 미국 영어에서 **"한계를 뛰어넘다, 경계를 확장하다, 기존의 틀을 깨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 기존의 한계를 넘어서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거나, 혁신적인 변화를 시도할 때 사용됩니다. - 주로 **기술, 예술, 스포츠, 비즈니스, 개인 성장** 등의 맥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 **자주 쓰이는 예제 문장** 1. **기술 및 혁신** - **This new AI model ==pushes the boundaries== of what machines can do.** (이 새로운 AI 모델은 기계가 할 수 있는 것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 **Tesla continues to ==push the boundaries== of electric vehicle technology.** (테슬라는 전기차 기술의 한계를 계속해서 확장하고 있다.) 2. **예술 및 창의성** - **This film ==pushes the boundaries== of storytelling in cinema.** (이 영화는 영화에서의 스토리텔링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 **Modern artists are always looking for ways to ==push the boundaries== of their craft.** (현대 예술가들은 항상 그들의 예술적 기술의 한계를 확장할 방법을 찾고 있다.) 3. **스포츠 및 피트니스** - **Athletes constantly ==push the boundaries== of human endurance.** (운동선수들은 끊임없이 인간의 지구력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 - **She ==pushed the boundaries== of her physical limits by running an ultramarathon.** (그녀는 울트라마라톤을 뛰며 자신의 신체적 한계를 넘었다.) 4. **비즈니스 및 산업 발전** - **Startups are ==pushing the boundaries== of what’s possible in fintech.** (스타트업들은 핀테크에서 가능한 것의 한계를 확장하고 있다.) - **The company is known for ==pushing the boundaries== of innovation.** (그 회사는 혁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것으로 유명하다.) 5. **개인적인 성장 및 도전** - **He always ==pushes the boundaries== of his knowledge to learn new things.** (그는 항상 새로운 것을 배우기 위해 자신의 지식의 한계를 확장한다.) - **If you want to grow, you need to ==push the boundaries== of your comfort zone.** (성장하고 싶다면, 자신의 편안한 영역의 한계를 넘어야 한다.) --- - **비슷한 표현** - **Break new ground**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다) - **Go beyond limits** (한계를 넘어서다) - **Redefine the limits** (한계를 재정의하다) - **Challenge the status quo** (현상에 도전하다) --- - **주요 사용 맥락** - **기술과 혁신**: 새로운 기술 개발, 연구, 신제품 출시 등. - **예술과 창작**: 영화, 음악, 디자인, 문학 등에서 창의적 도전을 의미할 때. - **스포츠와 건강**: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는 도전. - **비즈니스와 경제**: 산업이나 시장에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도입할 때. - **자기 계발**: 개인이 자신의 능력이나 지식의 한계를 확장할 때. **"==push the boundaries=="**는 **기존의 틀을 깨고 새로운 영역을 탐구하는 과정**을 강조할 때 유용한 표현으로, 혁신적인 업적이나 도전을 이야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br> # References [Wi-Fi 7 in 2025: Will this be the year? \| Network World](https://www.networkworld.com/article/3806086/wi-fi-7-in-2025-will-this-be-the-year.html) <br> # Links [[_MOC_2_English]] <br> # Tags #english #study #wifi7 <br> # Aliases #영어 #공부 #무선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