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비즈니스 인사이더의 ‘[9 simple reading strategies that will improve your memory and make you smarter](https://www.businessinsider.com/how-to-remember-everything-you-read-2015-9)’ 글을 번역하고 요약함. <br> # My Thoughts - 읽은 책을 더 잘 기억하고 똑똑해지기 위해서는 능동적 독서가 필요하다. - 적극적으로 생각하며 메모하며 읽는다. - 중요하게 기억해야 할 문장이나 문구가 있으면 소리 내어 읽는다. - 읽을 때 온전히 몰입해서 읽는다. - 블로그 등에 아웃풋(output)을 내거나 남에게 설명한다. <br> # Summary - 읽는 책에 대한 주제에 익숙해지고 키워드를 파악하라. - 책의 여백에 메모를 하며 읽어라. - 소리내어 읽으면 기억에 더 잘 남는다. - 멀티태스킹을 하지 말고 읽기에 철저히 집중하라. <br> ## 기억력을 향상시키고 똑똑하게 만드는 9가지 간단한 독서법 <br> 많은 사람이 텍스트를 아무리 좋아하더라도 읽은 내용 대부분을 잊어버린다는 사실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망각이 인간의 현상이라고 해서 단순히 그것을 받아들여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소설, 뉴스 기사, 과학 교과서 등 읽은 내용을 더 많이 유지하기 위한 간단하고 창의적인 전략이 많이 있습니다. 학교에서 다시 시작할 준비를 하든, 독서 경험을 풍부하게 하려고 노력하든, 다음은 가장 실용적인 기술입니다. 내일 모두 기억할 수 있다면 보너스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br> ### 1. 해당 주제에 익숙해지세요. ==블로거이자 웹 개발자인 라이언 배틀스는 특정 텍스트를 읽기 전에 배경지식을 모아두라고 권합니다.== “주제에 대한 사전 이해도가 높을수록 ‘훅(hook)’이 늘어나 팩트가 더 선명히 기억에 남게 됩니다”라고 하네요.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새로운 정보 사이에 더 많은 연결고리를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텍스트를 읽기 전 전 해당 주제에 대한 위키피디아 글을 먼저 훑어보는 것도 좋다고 합니다. <br> ### 2. 대충 한 번 훑어본 뒤 정독으로 들어가세요. ==신경과학 교수인 빌 클렘은 ‘대충 훑어보기’를 정보 보존의 핵심 전략으로 꼽고 있습니다. 클렘은 <학습 스킬 사이클> 등 학습과 기억력 향상에 대한 책을 몇 권 썼습니다.== ==클렘은 책을 손에 들면 먼저 대충 훑어보며 중요한 주제와 키워드를 파악하길 권합니다. 그러고 나서 정독에 들어가면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훨씬 쉬워진다고 합니다==. 읽는 절차 전체를 건너뛰라는 게 아니라, 전반적인 테마와 구성에 친숙해지면 디테일을 기억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br> ### 3. 천천히 읽으세요. 가능한 한 빨리 읽으면, 특히 다룰 정보가 많은 경우 더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고 있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리학 과학 협회(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의 2016년 연구에 따르면 속도와 정확성 사이에는 상충 관계가 있다고 Quartz는 이전에 보고했습니다. 다시 말해, ==더 빨리 읽을수록 이해하고 실제로 기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시간을 내어 읽으면 더 깊은 수준에서 읽은 내용을 더 많이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br> ### 4. 책의 여백에 메모하며 읽으세요 절대 연필 없이 책을 읽지 마세요. <행동 연구 방법> 저널의 기사에 따르면 능동적인 행동을 동반한 읽기 전략은 복잡한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의 연구 교수 다니엘 S. 맥나마라는 ==‘자기 설명 읽기’라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책장에 메모하면서 스스로에게 텍스트를 설명하면 글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겁니다.== 원문을 자신의 표현으로 바꿔 말하는 연습을 하는 테크닉도 있습니다. 그러면 다음 단락으로 넘어가기 전에 읽은 내용을 확실히 이해했음을 확인할 수 있죠. <br> ### 5. 소리내어 읽으세요 ==심리학자 아트 마크맨은 <사이콜러지 투데이>에 쓴 글을 통해 소리 내어 읽는 것(음독)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마크맨은 <실험 심리학 저널>에 게재된 ‘생산 효과’ 관련 논문을 인용하며 우리 두뇌가 기억할 것들을 단어 암기 방식처럼 처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2010년 여덟 번의 읽기 실험이 진행되었는데, 이 중 두 번에서 연구팀은 실험 대상자들에게 제시된 단어 목록을 음독과 묵독 두 방법으로 읽도록 했습니다. 실험 결과는 소리 없이 눈으로만 읽은 단어보다 소리 내어 읽은 단어가 기억에 훨씬 잘 남는다는 사실을 입증해 보였습니다.== <br> ### 6. 내용을 기억하는 데는 종이책이 더 좋습니다 휴가를 떠나면서 책을 잔뜩 가져가고 싶다거나 많은 텍스트를 순식간에 다운받는 데는 전자책이 편리합니다. 하지만 종이책으로 읽는 게 기억에는 더 좋을 수 있습니다. 2014년 노르웨이의 스타방에르 대학교에서 안네 망겐이 이끄는 연구팀은 50명의 참가자에게 똑같은 28페이지짜리 단편 소설을 주고 읽게 했습니다. 이중 절반은 킨들로, 나머지 절반은 문고판으로 읽었습니다. 결과에 따르면 종이책으로 읽은 사람들이 작중 서사의 시간적 전개를 더 잘 기억했습니다. 망겐은 손에 종이책을 들고 있으면 킨들에서는 얻을 수 없는 ‘진행의 촉각’을 느끼기 때문일지 모른다고 말했습니다. (물론 온라인으로 읽는 게 더 친숙한 사람이라면 이런 문제를 겪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br> ### 7. 모든 방해를 차단하고 읽기에 철저히 집중하세요 ==글을 읽을 때는 정해진 시간 동안 집중을 저해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차단하세요. 아예 다른 생각조차 하지 마세요. 몽상, 이메일, 전화, 넷플릭스는 금물입니다.==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에 따르면 멀티태스킹과 집중력 분산은 기억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UCLA 대학생들을 상대로 한 실험에서 192명의 참가자들을 여섯 개 그룹으로 나눠 각기 다른 기억력 테스트를 했습니다. 여기에는 집중 상태에서 단어 목록을 읽은 집단, 집중이 분산된 상태에서 단어 목록을 읽은 집단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집중이 분산된 집단은 “특별히 중요하다”라고 사전에 일러준 몇몇 단어는 기억해냈지만, 그밖에는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기억력을 보였습니다. <br> ### 8. 읽은 정보를 남들에게 설명해 주세요 ==쿼라 유저 두 명은 읽은 글에 대해 남에게 들려주는 것이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는 유용한 수단이라고 말했습니다. 벤카테시 라오는 새로 알게 된 사실을 블로그에 정리해 올리거나 친구들에게 설명해보라고 권합니다.== 2013년 테드글로벌 토크에서 마이크를 잡았던 교육심리학자 피터 둘리틀은 ‘작동 기억’ 즉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을 이해하게 해주는 뇌의 영역이 어떤 중요성과 한계를 가졌는지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정보를 기억하는 영역은 당신이 읽은 것, 또는 주제를 뒷받침하는 개인적 사례를 적극적으로 찾는 행위에 반응합니다. 읽은 내용을 친구와 동료들에게 전달하면 텍스트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사람들이 독서 클럽에 가입하는 이유도 그런 맥락에 있죠. <br> ### 9. 당신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책을 고르세요 책을 선택하는 이유를 분명히 하세요. 왜 이 책에 흥미가 생겼나요? 이 책이 당신의 개인적 발전에 확실한 영향을 줄까요, 아니면 다른 복잡한 생각들에서 일시적으로 탈출하는 일을 도와줄까요? ==무언가에 깊은 인상을 받는다면 당신이 배운 것을 기억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해 줄 수 있게 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러니 책을 신중하게 고르고, 원하는 만큼 읽으세요. 마음에 쏙 드는 소수의 책만 끝까지 읽게 된다고 해도 부끄러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br> # References [1일 1노트 프로젝트,Obsidian 옵시디언 사용자 모임 : 네이버 카페](https://cafe.naver.com/obsidianary?iframe_url=/ArticleList.nhn%3Fsearch.clubid=30537448%26search.menuid=34%26search.boardtype=L) [How to Remember Everything You Read Using a Memory Reading Habit](https://www.businessinsider.com/how-to-remember-everything-you-read-2015-9) <br> # Links [[_MOC_1_DailyNote]] <br> # Tags #output #book #write #note #memo #daily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