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br> ## Why? (목적 - 왜 기록하는가?) - 들뢰즈 철학 <노마디즘>을 공부하며 의미를 검색 ## How? (방법 - 어떻게 활용할까?) - ## What? (결과 - 무엇을 창조할까?) - Obsidian Publish <br> # Summary 반면 ==궁정식 사랑==처럼 대상의 획득에서 오는 쾌락을 무한히 연기 함으로써 사랑의 욕망으로 하여금 사랑하는 이를 위한 끝없는 헌신과 새로운 활동을 낳게 하는 경우, 거기서는 하나의 욕망이 지속되거나 다른 종류의 욕망으로 변환되며, 새로운 활동을 생산하는 내재적 과정이 끊임없이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궁정식 연애를 결여의 법칙이나 초월성의 이상으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이다. 외적인 쾌락의 포기나 지연 혹은 쾌락을 무한히 멀리함은 반대로 욕망이 더 이상 무것도 결여하지 않고 스스로를 채우고 있으며 자신의 내재성의 장을 건축하는 성취의 상태임을 입증해준다.”(MP, 193: 1, 164) <노마디즘 1>, p.475 <br> ## ChatGPT =='궁정식 사랑'(courtly love)은 중세 유럽에서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사랑의 형태를 가리키는 개념입니다. 이 사랑은 주로 기사와 귀족 여성 간의 사랑을 이상화한 것으로, 현실적인 성취보다는 헌신과 봉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이상적이고 순수한 사랑을 강조합니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에서 이 개념은 욕망과 결핍, 그리고 내재성의 개념과 연결되어 특별한 의미를 가집니다.== ### 1. **궁정식 사랑의 전통적 의미:** - ==중세 유럽에서 궁정식 사랑은 기사도가 강조되던 시기에 발달한 연애 방식으로, 주로 기사들이 자신의 높은 신분의 여성에게 절대적인 충성을 바치는 형태의 사랑을 의미합니다.== 이 사랑은 종종 신분 차이로 인해 실제로 결실을 맺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그 자체가 헌신과 봉사의 상징이 됩니다. 사랑의 대상인 여성은 이상화되며, 그 사랑은 종종 성취될 수 없는 것으로 그려집니다. ### 2. **들뢰즈와 가타리의 해석:** - 들뢰즈와 가타리는 궁정식 사랑을 단순히 결핍의 상징으로 해석하는 전통적인 관점을 비판합니다. ==이들은 궁정식 사랑이 외적인 성취(쾌락의 실현)를 계속해서 연기하거나 포기하는 방식을 통해, 욕망이 더 이상 결핍되지 않고 스스로를 채워가는 과정으로 해석합니다.== - ==이 과정에서 욕망은 결핍을 느끼지 않고, 오히려 자신의 내재성의 장을 건설하게 됩니다. 즉, 사랑의 대상이 실제로 성취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랑이 지속되면서 새로운 활동과 헌신을 낳는 생산적인 과정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 3. **욕망과 내재성:** - 궁정식 사랑에서 쾌락의 연기는 욕망이 더 큰 의미와 내재성을 구축하는 기회로 작용합니다. ==이는 욕망이 단순히 결핍을 채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을 확장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는 내재적인 과정임을 보여줍니다.== -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 과정에서 욕망이 단순히 외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 스스로를 풍요롭게 하고 충족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 4. **결론:** - '궁정식 사랑'은 단순히 성취할 수 없는 욕망의 대상에 대한 결핍이 아니라, 그 결핍이 욕망을 지속시키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생산적인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러한 사랑이 결핍의 법칙이나 초월적 이상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욕망이 자신의 내재성을 건설하는 과정을 통해 지속되고 확장된다고 해석합니다. 결론적으로, 들뢰즈와 가타리에게 '궁정식 사랑'은 욕망이 단순히 결핍을 채우려는 것이 아니라, 쾌락의 연기와 헌신을 통해 스스로를 충족시키고 새로운 활동을 생성하는 내재적 과정으로 이해됩니다. 이는 욕망이 끊임없이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고 실현하는 힘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br> ## Claude 여기서 언급된 '궁정식 사랑'(courtly love)은 중세 유럽의 귀족 사회에서 발전한 사랑의 개념을 가리킵니다. 이 문맥에서의 의미와 중요성을 설명하겠습니다: 1. 전통적 의미: - 중세 시대 귀족 사회의 이상화된 사랑의 형태 - 주로 기혼 여성에 대한 남성의 헌신적이고 플라토닉한 사랑을 의미 2. 들뢰즈와 가타리의 해석: - 단순한 결여나 초월적 이상으로 보지 않음 - 욕망의 생산적이고 창조적인 측면을 강조 3. 욕망의 지속과 변환: - 즉각적인 만족을 연기함으로써 욕망을 지속시킴 - 이를 통해 새로운 활동과 창조성을 촉발 4. 내재성의 강조: - 외부적 대상이나 초월적 이상을 추구하는 것이 아님 - 욕망 자체가 자신의 내재적 장을 만들어내는 과정 5. 결여의 극복: - 욕망을 단순한 결핍으로 보지 않음 - 오히려 자기 충족적이고 생산적인 상태로 해석 6. 새로운 활동의 생산: - 욕망의 지속이 끊임없이 새로운 활동과 창조를 낳음 - 이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생산적 욕망 개념과 연결됨 7. 철학적 함의: - 욕망을 부정적인 것(결핍)이 아닌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힘으로 재해석 - 초월성 대신 내재성을 강조하는 들뢰즈의 철학적 입장을 반영 8. 욕망의 자율성: - 외부 대상에 종속되지 않는 욕망의 자율적 작용을 보여줌 이 해석에서 궁정식 사랑은 단순히 역사적 개념이 아니라, 들뢰즈와 가타리의 욕망 이론을 설명하는 예시로 사용됩니다. 그들은 이를 통해 욕망의 생산적, 창조적, 내재적 특성을 강조하며, 전통적인 정신분석학적 욕망 개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합니다. <br> ## Copilot '궁정식 사랑’은 중세 유럽의 귀족 사회에서 발전한 연애 방식으로, 주로 기사와 귀부인 사이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이 사랑의 방식은 귀족들의 이상과 가치를 표현하며, 음유시인들에 의해 전파되었습니다](https://m.blog.naver.com/ohryan77/221412546412)[1](https://m.blog.naver.com/ohryan77/221412546412)[2](https://www.earticle.net/Article/A140998). 문맥에서 '궁정식 사랑’은 사랑의 대상이 되는 사람을 얻는 쾌락을 무한히 연기함으로써, 사랑하는 이를 위한 끝없는 헌신과 새로운 활동을 낳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욕망이 지속되거나 다른 종류의 욕망으로 변환되며, 새로운 활동을 생산하는 내재적 과정을 끊임없이 이어가는 것을 말합니다. [궁정식 사랑은 외적인 쾌락의 포기나 지연을 통해 욕망이 더 이상 결여되지 않고 스스로를 채우며, 자신의 내재성의 장을 건축하는 성취의 상태를 입증하는 것입니다](https://www.earticle.net/Article/A140998)[2](https://www.earticle.net/Article/A140998)[3](https://bing.com/search?q=%EA%B6%81%EC%A0%95%EC%8B%9D+%EC%82%AC%EB%9E%91+%EC%9D%98%EB%AF%B8). 이러한 사랑의 방식은 단순히 결여나 초월성의 이상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욕망이 스스로를 채우고 내재성을 구축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https://m.blog.naver.com/ohryan77/221412546412)[1](https://m.blog.naver.com/ohryan77/221412546412): [](https://m.blog.naver.com/ohryan77/221412546412)[2](https://www.earticle.net/Article/A140998): [](https://m.blog.naver.com/ohryan77/221412546412)[3](https://bing.com/search?q=%EA%B6%81%EC%A0%95%EC%8B%9D+%EC%82%AC%EB%9E%91+%EC%9D%98%EB%AF%B8): <br> ## Perplexity 이 맥락에서 '궁정식 사랑'(courtly love)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1. **욕망의 지속과 변환**: 궁정식 사랑은 단순히 대상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습니다. 대신, 사랑의 대상을 향한 끊임없는 헌신과 새로운 활동을 통해 욕망을 지속시키고 변환시킵니다. 2. **내재적 과정**: 궁정식 사랑은 외부의 목표나 이상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 자체 내에서 지속되는 내재적 과정입니다. 3. **생산적 욕망**: 이러한 사랑은 단순한 결여나 부재의 상태가 아니라, 새로운 활동과 관계를 끊임없이 생산하는 창조적 과정입니다. 4. **자기충족적 특성**: 들뢰즈는 궁정식 사랑에서 욕망이 "스스로를 채우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는 욕망이 외부의 대상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충족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5. **초월성의 거부**: 궁정식 사랑은 초월적인 이상이나 외부의 법칙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재적인 과정으로 이해됩니다. 6. **욕망의 긍정적 해석**: 들뢰즈는 궁정식 사랑을 통해 욕망을 결여나 부정적인 것이 아닌,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힘으로 재해석합니다. 이러한 해석은 들뢰즈의 욕망 개념, 즉 욕망을 생산적이고 창조적인 힘으로 보는 관점과 일치합니다. 궁정식 사랑은 욕망의 지속과 변환을 통해 새로운 관계와 활동을 끊임없이 생성하는 과정으로 이해됩니다. Citations: [1] https://jiwoonism.tistory.com/215 [2] https://nomadiaphilonote.tistory.com/19 [3] https://happymemo.tistory.com/entry/18-%EC%88%98%EB%8F%99%EC%A0%81-%EC%A2%85%ED%95%A9-%EC%A0%91%EC%86%8D-%EC%9D%B4%EC%A0%91-%ED%86%B5%EC%A0%91 [4] https://jiwoonism.tistory.com/218 [5] https://happymemo.tistory.com/entry/6-%EA%B8%B0%EA%B4%80-%EC%97%86%EB%8A%94-%EC%8B%A0%EC%B2%B4%EC%97%90-%EA%B4%80%ED%95%98%EC%97%AC-%E2%80%9C%EC%9D%B8%EA%B0%84%EC%9D%80-%EC%9E%90%EC%8B%A0%EC%9D%B4-%EB%B3%B8%EB%9E%98-%EB%AC%B4%EC%97%87%EC%9D%B4%EB%9D%BC%EA%B3%A0-%EC%83%9D%EA%B0%81%ED%95%98%EB%8A%94%EA%B0%80%E2%80%9D [6] https://namu.wiki/w/%ED%8C%8C%EC%8B%9C%EC%A6%98/%EC%9D%B4%EB%A1%A0 [7] https://namu.wiki/w/%ED%8C%8C%EC%8B%9C%EC%A6%98 [8] https://www.youtube.com/watch?v=MRjtdZpL9S8 <br> # References <br> # Links <br> # Tags #philosophy y #deleuze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