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는 웹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HTTP 응답 헤더 기반의 보안 메커니즘**
- 사용자의 브라우저가 해당 웹사이트에 대해 **HTTP 대신 반드시 HTTPS로만 통신하도록 강제**하는 기능
## Why? (목적 - 왜 기록하는가?)
## How? (방법 - 어떻게 활용할까?)
## What? (결과 - 무엇을 창조할까?)
<br>
# Summary
<br>
## ChatGPT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는 웹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HTTP 응답 헤더 기반의 보안 메커니즘**입니다. 사용자의 브라우저가 해당 웹사이트에 대해 **HTTP 대신 반드시 HTTPS로만 통신하도록 강제**하는 기능이에요.==
---
### 🔐 왜 HSTS가 필요한가요?
HTTP는 암호화되지 않은 통신이라, **중간자 공격(MITM)**에 취약합니다. 사용자가 `http://example.com`을 타이핑했을 때, 이 요청은 평문으로 전송되고, 공격자가 이걸 가로채서 악성 페이지로 리디렉션할 수 있어요.
---
### ✅ HSTS의 작동 원리
1. 사용자가 HTTPS를 통해 사이트에 처음 접속하면, 서버는 `Strict-Transport-Security`라는 **헤더를 응답에 포함**시킵니다.
```
Strict-Transport-Security: max-age=31536000; includeSubDomains; preload
```
2. 이후 브라우저는 `max-age`(예: 1년) 동안 이 사이트에 접속할 때 **무조건 HTTPS로 리디렉션**합니다.
3. 사용자가 `http://example.com`을 입력해도 브라우저는 자동으로 `https://example.com`으로 바꿔서 접속합니다.
---
### 🧱 HSTS 헤더 구성 예시
```http
Strict-Transport-Security: max-age=31536000; includeSubDomains; preload
```
- `max-age=31536000`: 1년(초 단위) 동안 HTTPS만 허용
- `includeSubDomains`: 서브도메인도 모두 HTTPS만 허용
- `preload`: 크롬/파이어폭스 등의 브라우저 preload list에 등록하면, **최초 접속조차 HTTPS로 시도**
---
### 🛡️ 보안 효과
- **MITM 공격 차단**: HTTP 요청을 HTTPS로 강제
- **SSL Stripping 공격 방지**: 공격자가 HTTPS 연결을 끊고 HTTP로 유도하는 시도 차단
---
### ⚠️ 주의할 점
- HTTPS 인증서가 만료되거나 오류가 있으면 접속 자체가 막혀버려서, 운영 전에 반드시 **HTTPS 인증과 설정이 완벽해야** 합니다.
- 초기 접속은 여전히 HTTP일 수 있으므로, 완벽한 보안을 위해서는 **preload list** 등록을 권장합니다.
---
필요하면 `Strict-Transport-Security`를 적용하는 방법이나, 보안 점검 도구로 확인하는 방법도 알려줄게요.
<br>
## Perplexity
HTTP와 HTTPS는 웹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기본적인 프로토콜입니다.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전송되기 때문에, 중간에 누군가 정보를 가로챌 수 있습니다.
- **HTTPS(HTTP Secure)**: HTTP에 SSL/TLS 암호화를 추가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합니다.
이처럼 HTTPS는 보안이 강화되지만, 사용자가 실수로 HTTP로 접속하거나, 중간자 공격(예: SSL 스트리핑)에 의해 암호화 없이 정보가 노출될 위험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이런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이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입니다.
### HSTS란?
==HSTS는 웹사이트가 오직 HTTPS로만 접속해야 함을 브라우저에 강제하는 보안 정책입니다.== 서버는 HTTPS 응답 헤더에 `Strict-Transport-Security`를 추가해 브라우저에게 이 정책을 전달합니다[1](https://velog.io/@sejinkim/HTTP-Strict-Transport-Security)[2](https://lurgi.github.io/Development/notion/1f7785ff-8231-809d-ba58-eda93a5802ba)[3](https://blog.pages.kr/2827).
예시 헤더:
text
`Strict-Transport-Security: max-age=31536000; includeSubDomains; preload`
- **max-age**: 브라우저가 HSTS 정책을 기억할 시간(초 단위, 보통 1년)
- **includeSubDomains**: 모든 서브도메인에도 HSTS 적용
- **preload**: 브라우저 내장 HSTS 목록에 등록(별도 절차 필요)
### HSTS의 역할과 장점
- **SSL 스트리핑 공격 방지**: 중간자가 HTTPS 리다이렉트를 가로채 HTTP로 유도하는 공격을 차단합니다[2](https://lurgi.github.io/Development/notion/1f7785ff-8231-809d-ba58-eda93a5802ba)[4](https://www.ssl.com/ko/%EA%B8%B0%EC%82%AC/http-strict-transport-security-hsts%EB%8A%94-%EB%AC%B4%EC%97%87%EC%9E%85%EB%8B%88%EA%B9%8C%3F/).
- **초기 HTTP 요청 취약점 해소**: 일반적으로 사이트에 처음 접속할 때 HTTP로 요청이 가고, 서버가 HTTPS로 리다이렉트하지만, 이 과정에서 정보가 노출될 수 있습니다. HSTS는 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기 전에 자동으로 HTTPS로 변환하므로, 네트워크 상에 HTTP 요청이 전혀 노출되지 않습니다[2](https://lurgi.github.io/Development/notion/1f7785ff-8231-809d-ba58-eda93a5802ba)[3](https://blog.pages.kr/2827)[5](https://blog.naver.com/ak0402/221550608293).
- **사용자의 실수 방지**: 사용자가 주소창에 `http://`를 입력해도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https://`로 변환하여 접속합니다[2](https://lurgi.github.io/Development/notion/1f7785ff-8231-809d-ba58-eda93a5802ba)[6](https://hippogrammer.tistory.com/376).
- **쿠키 하이재킹 등 추가 보호**: 프로토콜 다운그레이드 공격과 쿠키 하이재킹 등 다양한 공격을 방지합니다[4](https://www.ssl.com/ko/%EA%B8%B0%EC%82%AC/http-strict-transport-security-hsts%EB%8A%94-%EB%AC%B4%EC%97%87%EC%9E%85%EB%8B%88%EA%B9%8C%3F/)[6](https://hippogrammer.tistory.com/376).
### 주의사항
- **HSTS는 브라우저와 서버 모두 지원해야 하며, 최신 브라우저 대부분이 지원합니다**[7](https://blog.naver.com/aepkoreanet/221575708943)[8](https://brunch.co.kr/@@JqQ/40).
- **HSTS 정책을 적용하면 해당 도메인에 대한 HTTP 접근이 완전히 차단되므로, HTTPS 설정이 완벽해야 합니다**[3](https://blog.pages.kr/2827).
- **preload 목록에 등록하면 되돌릴 수 없으므로 신중해야 합니다**[3](https://blog.pages.kr/2827).
### 요약
HSTS는 웹사이트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브라우저가 해당 사이트에 반드시 HTTPS로만 접속하도록 강제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중간자 공격, 프로토콜 다운그레이드, 쿠키 하이재킹 등 다양한 보안 위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습니다[2](https://lurgi.github.io/Development/notion/1f7785ff-8231-809d-ba58-eda93a5802ba)[3](https://blog.pages.kr/2827)[4](https://www.ssl.com/ko/%EA%B8%B0%EC%82%AC/http-strict-transport-security-hsts%EB%8A%94-%EB%AC%B4%EC%97%87%EC%9E%85%EB%8B%88%EA%B9%8C%3F/).
<br>
## Claude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는 웹사이트가 브라우저에게 "이 사이트는 반드시 HTTPS로만 접속해야 한다"고 강제하는 보안 메커니즘입니다.
### HSTS의 작동 원리
웹서버가 HTTP 응답 헤더에 `Strict-Transport-Security`를 포함하여 전송하면, 브라우저는 이를 기억해두고 해당 도메인에 대한 모든 후속 요청을 자동으로 HTTPS로 변환합니다.
```
Strict-Transport-Security: max-age=31536000; includeSubDomains; preload
```
### 주요 구성 요소
**max-age**: HSTS 정책이 유효한 기간(초 단위)을 지정합니다. 위 예시는 1년(31536000초)을 의미합니다.
**includeSubDomains**: 모든 하위 도메인에도 HSTS 정책을 적용합니다.
**preload**: 브라우저의 HSTS preload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지시어입니다.
### HSTS가 해결하는 보안 문제
**프로토콜 다운그레이드 공격 방지**: 공격자가 사용자의 HTTPS 연결을 HTTP로 강제 변환하는 것을 막습니다.
**중간자 공격(MITM) 방지**: 첫 HTTPS 연결 이후부터는 모든 연결이 암호화되므로, 네트워크 상에서 트래픽을 가로채기 어렵게 만듭니다.
**사용자 실수 방지**: 사용자가 실수로 http://로 접속해도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https://로 리다이렉트합니다.
### 실제 동작 과정
1. 사용자가 처음 HTTPS로 사이트 접속
2. 서버가 HSTS 헤더와 함께 응답
3. 브라우저가 HSTS 정책을 저장
4. 이후 해당 도메인 접속 시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HTTPS 사용
HSTS는 특히 온라인 뱅킹, 쇼핑몰, 소셜미디어 등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웹사이트에서 필수적인 보안 기능으로 여겨집니다.
<br>
## Copilot
**HSTS**는 *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의 약자로, 웹사이트가 **HTTPS(보안 연결)**만을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웹 보안 정책 메커니즘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한 번 HTTPS로 접속한 사용자가 다음부터는 실수로 HTTP(보안되지 않은 연결)로 접속해도 **자동으로 HTTPS로 전환되도록** 도와주는 장치예요.
### 왜 HSTS가 중요한가요?
웹사이트에 HTTPS가 적용되어 있어도, 사용자가 처음 접속할 때 `http://example.com`처럼 **HTTP 주소로 접근**할 경우에는 여전히 보안되지 않은 접속이 발생할 수 있어요. 이 때 **중간자 공격(MITM)**에 노출될 수 있죠. HSTS는 이 문제를 막아줘요.
### 동작 방식 요약
1. 사용자가 HTTPS로 사이트에 처음 접속하면, 서버는 HSTS 정책을 `Strict-Transport-Security` 헤더로 알려줍니다.
2. 이 정보는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저장돼요.
3. 이후에는 사용자가 HTTP로 요청해도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HTTPS로 리디렉션**해요. 그리고 **유효 기간 동안 HTTP 접속은 금지**됩니다.
### 예시 헤더
```http
Strict-Transport-Security: max-age=31536000; includeSubDomains; preload
```
- `max-age`: 초 단위로 HSTS 정책이 유효한 기간 (예: 31536000초 = 1년)
- `includeSubDomains`: 서브도메인까지 적용할지 여부
- `preload`: 브라우저 제작사에게 미리 목록에 포함되도록 요청 (처음 접속조차 HTTPS만 하도록)
**한마디로, HSTS는 HTTPS의 경비 강화 버전**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걸 써야 진정한 HTTPS 보안 마스터가 되는 거죠.
더 깊게 들어가보고 싶으신가요? 아니면 TLS나 인증서 쪽으로도 확장해서 설명드릴까요?
<br>
## Gemini
HSTS (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는 웹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웹사이트가 브라우저에게 "이 웹사이트는 앞으로 항상 HTTPS 연결을 사용해야 한다"고 알려주는 정책입니다.
**HTTP와 HTTPS의 차이점 및 보안 문제점:**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암호화되지 않은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이 평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간에 누군가가 데이터를 가로채거나 변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그인 정보, 개인 정보 등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습니다.
-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HTTP에 SSL/TLS (Secure Sockets Layer/Transport Layer Security)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입니다.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중간에 가로채거나 변조하더라도 내용을 알아볼 수 없습니다. 또한, 서버의 신원을 인증하여 피싱 공격 등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HTTP에서 HTTPS로의 전환 문제점:**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기본적으로 HTTP를 사용하다가 보안이 필요한 페이지(로그인, 결제 등)에서 HTTPS로 전환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보안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초기 HTTP 연결의 취약점:**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처음 접속할 때 HTTP로 접속하게 되면, 이 초기 연결이 MITM(Man-in-the-Middle) 공격에 취약해집니다. 공격자가 이 초기 연결을 가로채서 사용자를 위조된 웹사이트로 리디렉션하거나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2. **수동적인 HTTPS 리디렉션:** 웹 서버는 HTTP 요청이 들어오면 HTTPS로 리디렉션하는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리디렉션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여전히 HTTP 상태이므로, 이 짧은 순간에도 공격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3. **사용자 실수:**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또는 실수로 `http://`로 시작하는 URL을 입력하면, 보안되지 않은 HTTP 연결로 접속하게 될 위험이 있습니다.
**HSTS의 역할:**
HSTS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HSTS가 적용된 웹사이트에 한 번이라도 HTTPS로 접속한 브라우저는 다음 번에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자동으로 HTTPS로만 접속하려고 시도합니다.
**HSTS 작동 방식:**
1. **HSTS 헤더 전송:** 웹 서버는 HTTPS 응답에 `Strict-Transport-Security`라는 HTTP 헤더를 포함하여 브라우저에 전송합니다. 이 헤더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됩니다.
- `max-age`: HSTS 정책을 얼마나 오랫동안 유지할지 초 단위로 지정합니다. 이 시간 동안 브라우저는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모든 요청을 HTTPS로만 보냅니다.
- `includeSubDomains` (선택 사항): 이 웹사이트의 모든 서브도메인에도 HSTS 정책을 적용할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 `preload` (선택 사항): 이 웹사이트를 HSTS Preload List에 등록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아래에서 설명)
2. **브라우저의 HSTS 정책 저장:** 브라우저는 이 HSTS 헤더를 받으면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HSTS 정책을 내부적으로 저장합니다.
3. **강제적인 HTTPS 연결:** `max-age` 기간 동안, 사용자가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하려고 시도할 때 (명시적으로 HTTP로 입력하더라도), 브라우저는 즉시 HTTP 요청을 HTTPS 요청으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 만약 HTTPS 연결이 실패하거나 유효하지 않은 인증서가 발견되면, 브라우저는 사용자에게 경고를 표시하거나 연결을 아예 차단합니다. (일반적인 HTTPS 오류와 달리 무시할 수 없음)
**HSTS Preload List:**
HSTS의 한계점 중 하나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한 번이라도 HTTPS로 접속해야 HSTS 정책이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이 "최초 접속"의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HSTS Preload List가 존재합니다.
- HSTS Preload List는 주요 웹 브라우저(Chrome, Firefox, Edge 등)에 내장된 "하드코딩된" HSTS 웹사이트 목록입니다.
- 웹사이트 운영자는 자신의 웹사이트를 이 Preload List에 등록 신청할 수 있습니다.
- Preload List에 등록된 웹사이트는 사용자가 처음 접속할 때부터 브라우저가 해당 웹사이트는 항상 HTTPS로만 접속해야 한다는 것을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초기 HTTP 연결의 위험이 원천적으로 차단됩니다.
**HSTS의 장점:**
- **MITM 공격 방지:** 중간자 공격자가 사용자와 웹사이트 사이의 통신을 가로채서 HTTP로 다운그레이드하거나 조작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 **보안 강화 및 신뢰도 향상:** 모든 통신이 HTTPS로 강제되어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고, 사용자에게 더 안전한 웹 환경을 제공합니다.
- **성능 향상 (간접적으로):** 브라우저가 HTTP에서 HTTPS로 리디렉션하는 과정을 생략하므로, 약간의 성능 향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사용자 편의성:** 사용자가 매번 HTTPS를 명시적으로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보안 연결이 유지됩니다.
**HSTS의 단점 및 주의사항:**
- **실수 시 복구 어려움:** `max-age`를 너무 길게 설정하거나 `includeSubDomains`를 잘못 적용하면, 웹사이트에서 HTTP를 사용해야 할 경우 (예: 특정 서브도메인에 대한 HTTP 테스트), 브라우저가 강제로 HTTPS 연결을 시도하여 접근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HSTS 정책이 한번 적용되면 `max-age` 기간이 만료되거나 브라우저 캐시를 수동으로 지우기 전까지는 되돌리기 어렵습니다.
- **초기 적용의 복잡성:** HSTS를 적용하기 전에 웹사이트의 모든 리소스(이미지, 스크립트, CSS 등)가 HTTPS를 통해 제공되는지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HTTP 리소스가 포함되어 있으면 "혼합 콘텐츠" 오류가 발생하여 웹사이트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인증서 만료 또는 문제 시 접근 불가:** HSTS가 적용된 웹사이트의 SSL/TLS 인증서가 만료되거나 문제가 발생하면, 브라우저는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전면 차단합니다. 이는 보안을 위한 것이지만, 웹사이트 운영자 입장에서는 즉각적인 문제 해결이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HSTS는 웹사이트의 보안을 한 단계 더 강화하는 강력한 메커니즘입니다.** 하지만 적용 전에 충분한 이해와 테스트가 필요하며, 특히 `max-age` 설정과 `includeSubDomains` 옵션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br>
# References
<br>
# Links
[[_Index_H]]
<br>
# Tags
#hsts #web #vulnerability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