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11ax-6G (Wi-Fi 6E)
- 802.11ax
- 최대 채널폭: 160 MHz (6 GHz에서는 7개 채널)
- 추가 80 MHz 채널 수: 14개
- 최고 변조: 1024-QAM
- 최대 공간 스트림: 8 (MU-MIMO)
- 이론상 최고 전송률: 약 9.6 Gbps
- 최대 신규 기능: OFDMA, BSS Coloring, TWT, 6 GHz 대역 확대
- 지연·신뢰성 개선: OFDMA로 평균 75 % 감소
- 전력 효율: TWT
- 11be-6G (Wi-Fi 7)
- 802.11be (EHT)
- 최대 채널폭: 320 MHz (6 GHz에서만 가능)
- 추가 80 MHz 채널 수: 28개(320 MHz 결합 시 3개)
- 최고 변조: 4096-QAM(4 K QAM)
- 최대 공간 스트림: 16 (MU-MIMO)
- 이론상 최고 전송률: 약 9.6 Gbps
- 최대 신규 기능: 320 MHz, MLO, 4 K QAM, 다중 RU·Puncturing 강화, 16×16 MU-MIMO, 결정적 저지연
- 지연·신뢰성 개선: MLO·다중 RU로 추가 감소 및 이중화
- 전류 효율: TWT 발전 + 링크 통합 전력 최적화
• 802.11n → HT (High Throughput)
• 802.11ac → VHT (Very High Throughput)
• 802.11ax → HE (High Efficiency)
• 802.11be → EHT (Extremely High Throughput)
#### Why? (목적 - 왜 기록하는가?)
#### How? (방법 - 어떻게 활용할까?)
#### What? (결과 - 무엇을 창조할까?)
<br>
# Summary
## IEEE 802.11 기술의 진화
| IEEE 802.11 | 802.11b | 802.11a | 802.11g | 802.11n | 802.11ac | 802.11ax | 802.11be |
| ----------------------------- | ---------------------------- | ---------------------------- | ---------------------------- | ------------------------ | -------------------------------- | ----------------------------------------- | -------------------------------------------------- |
| Generations | Wi-Fi 1 | Wi-Fi 2 | Wi-Fi 3 | Wi-Fi 4 | Wi-Fi 5 | Wi-Fi 6, 6E | Wi-Fi 7 |
| Transmission Vector Format | Non-HT (Non-High Throughput) | Non-HT (Non-High Throughput) | Non-HT (Non-High Throughput) | HT (High Throughput) | VHT (Very High Throughput) | HE (High Efficiency) | EHT (Extreme High Throughput) |
| Definition | 1999 | 1999 | 2003 | 2009 | 2014 | 2021 | Planned in 2024 |
| Freq. | | | | | | | |
| 2.4 GHz | ✓ | - | ✓ | ✓ | - | ✓ | ✓ |
| 5 GHz | - | ✓ | - | ✓ | ✓ | ✓ | ✓ |
| 6 GHz | - | - | - | - | - | ✓ | ✓ |
| Bandwidth [MHz] | 22 | 20 | 20 | 20/40 | 20/40/80/160/80+80 | 20/40/80/160/80+80 | 20/40/80/160/320 |
| Maximum throughput rate [bps] | 11M | 54M | 54M | 540M | 6.93G | 9.6G | 30G+ |
| Modulation scheme | DBPSK, DQPSK | BPSK, QPSK, 16QAM, 64QAM | BPSK, QPSK, 16QAM, 64QAM | BPSK, QPSK, 16QAM, 64QAM |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1024QAM |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1024QAM, 4096QAM |
| Stream | - | - | - | 4x4 | 8x8 | 8 Stream OFDMA | 16 Stream OFDMA |
| RU | - | - | - | - | - | RU | Multi RU |
<br>
## Wi-Fi 6E vs. Wi-Fi 7
- ChatGPT
다음 표는 6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11ax-6G(통칭 Wi-Fi 6E)와 11be-6G(통칭 Wi-Fi 7)의 핵심 차이를 한눈에 정리한 것이다.
| 항목 | 11ax-6G (Wi-Fi 6E) | 11be-6G (Wi-Fi 7) |
| -------------- | ------------------------------------- | ------------------------------------------------------------------ |
| IEEE 표준 | 802.11ax | 802.11be (EHT) |
| 인증 프로그램 발표 | 2021 초(6E 확장) | 2024 초(Certified 7) |
| 사용 주파수 | 2.4 GHz·5 GHz + 6 GHz | 2.4 GHz·5 GHz + 6 GHz |
| 최대 채널 폭 | 160 MHz (6 GHz에서는 7개 채널) | 320 MHz (6 GHz에서만 가능) |
| 추가 80 MHz 채널 수 | 14개 | 28개(320 MHz 결합 시 3개) |
| 최고 변조 | 1024-QAM | 4096-QAM(4 K QAM) |
| 최대 공간 스트림 | 8 (MU-MIMO) | 16 (MU-MIMO) |
| 이론상 최고 전송률 | 약 9.6 Gbps | 20 Gbps 이상(표준 최소 목표) |
| 대표 신규 기능 | OFDMA, BSS Coloring, TWT, 6 GHz 대역 확대 | 320 MHz, MLO, 4 K QAM, 다중 RU·Puncturing 강화, 16×16 MU-MIMO, 결정적 저지연 |
| 지연·신뢰성 개선 | OFDMA로 평균 75 % 감소 | MLO·다중 RU로 추가 감소 및 이중화 |
| 전력 효율 | TWT | TWT 발전 + 링크 통합 전력 최적화 |
근거가 되는 핵심 사양과 기능 변화는 아래와 같다.
• 6E는 6 GHz에서 최대 14개의 80 MHz 채널 또는 7개의 160 MHz 초광대역 채널을 제공해 기존 5 GHz 혼잡 문제를 완화한다. ([Wi-Fi Alliance](https://www.wi-fi.org/discover-wi-fi/wi-fi-certified-6 "Wi-Fi CERTIFIED 6 | Wi-Fi Alliance"))
• 6E 환경에서 160 MHz·8 스트림·1024-QAM을 활용하면 최대 9.6 Gbps의 물리층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Wi-Fi Alliance](https://www.wi-fi.org/file/study-sustainability-benefits-of-6-ghz-spectrum-policy-2023?utm_source=chatgpt.com "[PDF] Sustainability Benefits of 6 GHz Spectrum Policy | Wi-Fi.org"))
• Wi-Fi 7은 320 MHz 초광대역 채널, 멀티링크 연결(MLO), 4 K QAM을 도입해 6E 대비 2 배 이상의 순간 처리량을 제공하며, 표준은 MAC 기준 20 Gbps 이상의 모드를 명시한다. ([Wi-Fi Alliance](https://www.wi-fi.org/discover-wi-fi/wi-fi-certified-7 "Wi-Fi CERTIFIED 7 | Wi-Fi Alliance"), [IEEE Standards Association](https://standards.ieee.org/ieee/802.11be/7516/?utm_source=chatgpt.com "IEEE 802.11be-2024 - IEEE SA"))
• MLO는 두 개 이상의 채널(또는 서로 다른 밴드)을 동시에 묶거나 분산해 쓰므로 트래픽 부하 분산과 경로 이중화를 동시에 만족시켜 지연·패킷 손실을 줄인다. ([Wi-Fi Alliance](https://www.wi-fi.org/discover-wi-fi/wi-fi-certified-7 "Wi-Fi CERTIFIED 7 | Wi-Fi Alliance"))
• 4 K QAM은 1024-QAM 대비 심볼당 20 % 더 많은 비트를 실어 동일 대역폭에서 데이터를 늘린다. ([Wi-Fi Alliance](https://www.wi-fi.org/discover-wi-fi/wi-fi-certified-7 "Wi-Fi CERTIFIED 7 | Wi-Fi Alliance"))
• 11be는 16×16 MU-MIMO, 여러 RU를 하나의 STA에 동시 할당, 512-Compressed Block Ack 등으로 스펙트럼 효율을 추가 향상한다. ([Wi-Fi Alliance](https://www.wi-fi.org/discover-wi-fi/wi-fi-certified-7 "Wi-Fi CERTIFIED 7 | Wi-Fi Alliance"))
실제 체감 차이와 도입 시 고려 사항
1. 처리량과 대역폭
- 고해상도 8K 스트리밍이나 대용량 파일 전송 등 순수 속도가 중요한 환경이라면 Wi-Fi 7의 320 MHz·4 K QAM 조합이 확실한 이점을 준다.
1. 지연과 안정성
- 실시간 AR/VR, 클라우드 게임, 산업 자동화 같이 끊김·지연에 민감한 애플리케이션은 MLO·결정적 저지연 기능 덕분에 11be가 유리하다.
3. 디바이스 생태계
- 6E 지원 AP·단말은 2021년부터 고급 스마트폰·노트북에 널리 탑재됐지만, 7 지원 기기는 2024년 하반기 이후 플래그십부터 확대되는 중이다. 따라서 전면 교체보다는 이중 운영(6E+7) 기간이 예상된다.
4. 백호환성
- 두 표준 모두 2.4/5 GHz의 기존 11n/ac/ax 단말과 호환된다. 단, Wi-Fi 7의 핵심 기능은 7 지원 AP-단말 양쪽이 모두 7을 지원해야 활성화된다.
요약
Wi-Fi 6E(11ax-6G)는 6 GHz 대역을 열어 기존 ax 기술을 넓은 신규 스펙트럼에 적용한 ‘용량 확장판’이다. 반면 Wi-Fi 7(11be-6G)은 대역폭(320 MHz), 변조(4 K QAM), 멀티링크, MU-MIMO 16스트림 등 물리·MAC 계층을 대폭 확장해 ‘속도·지연·효율’ 모두 세대를 뛰어넘는 극적인 향상을 목표로 한다. 네트워크 설계 시 목표 성능, 디바이스 생태계 성숙도, 규제 환경(6 GHz 허용 범위)을 함께 고려해 업그레이드 로드맵을 잡는 것이 좋다.
https://chatgpt.com/c/681e63d6-d650-8003-b813-1297f3f4eaa3
- Perplexity



## 11ax-6G (Wi-Fi 6E)와 11be-6G (Wi-Fi 7)의 차이
**주요 차이점 요약**
|항목|11ax-6G (Wi-Fi 6E)|11be-6G (Wi-Fi 7)|
|---|---|---|
|표준|IEEE 802.11ax|IEEE 802.11be|
|지원 주파수|2.4GHz, 5GHz, 6GHz|2.4GHz, 5GHz, 6GHz|
|최대 채널 대역폭|160 MHz|320 MHz|
|최대 변조 방식|1024-QAM|4096-QAM|
|최대 공간 스트림|8|16|
|주요 특징|고밀도 환경 효율성, OFDMA, TWT 등|멀티링크 작동, 더 넓은 대역폭, 더 짧은 지연, 멀티-RU, 4096-QAM 등|
|용도/목표|스테이션당 속도 및 효율성 개선|초고속, 초저지연, 대용량, 차세대 응용(AR/VR 등)|
## **11ax-6G (Wi-Fi 6E, IEEE 802.11ax) 특징**
- **주파수 대역**: 2.4GHz, 5GHz, 6GHz 지원[2](https://www.rohde-schwarz.com/kr/solutions/wireless-communications-testing/wireless-standards/wlan-wi-fi/wlan-ieee-802-11ax-testing/wlan-ieee-802-11ax-testing_250903.html).
- **주요 목표**: 고밀도 환경(공항, 스타디움 등)에서의 효율성 및 스테이션당 속도 개선[2](https://www.rohde-schwarz.com/kr/solutions/wireless-communications-testing/wireless-standards/wlan-wi-fi/wlan-ieee-802-11ax-testing/wlan-ieee-802-11ax-testing_250903.html).
- **기술적 특징**:
-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MU-MIMO(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TWT(Target Wake Time) 등 전력 효율 향상
- **최대 채널 대역폭**: 160 MHz[6](https://statetechmagazine.com/article/2021/08/wi-fi-6-vs-wi-fi-6e-benefits-whats-difference-perfcon).
- **최대 변조 방식**: 1024-QAM
## **11be-6G (Wi-Fi 7, IEEE 802.11be) 특징**
- **주파수 대역**: 2.4GHz, 5GHz, 6GHz 모두 지원[4](https://www.anritsu.com/ko-kr/test-measurement/solutions/wireless-lan/wi-fi-7?click-from-wireless-lan-solutions)[7](https://en.wikipedia.org/wiki/Wi-Fi_7).
- **주요 목표**: 802.11ax 대비 훨씬 더 빠른 속도와 대용량, 초저지연 실현[1](https://www.anritsu.com/en-US/test-measurement/technologies/wlan/wlan6gfeatures/wifi7?click-from-wifiparent)[4](https://www.anritsu.com/ko-kr/test-measurement/solutions/wireless-lan/wi-fi-7?click-from-wireless-lan-solutions).
- **기술적 특징**:
- **최대 320 MHz 채널 대역폭** 지원 (Wi-Fi 6/6E의 2배)[3](https://blog.naver.com/rohdeschwarzkorea/223445440732)[4](https://www.anritsu.com/ko-kr/test-measurement/solutions/wireless-lan/wi-fi-7?click-from-wireless-lan-solutions).
- **4096-QAM** 변조 방식(기존 1024-QAM 대비 데이터 효율 20% 증가)[4](https://www.anritsu.com/ko-kr/test-measurement/solutions/wireless-lan/wi-fi-7?click-from-wireless-lan-solutions).
- **최대 16개 공간 스트림** 지원(기존 8개에서 2배)[4](https://www.anritsu.com/ko-kr/test-measurement/solutions/wireless-lan/wi-fi-7?click-from-wireless-lan-solutions).
- **멀티링크 작동(MLO, Multi-Link Operation)**: 여러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활용, 지연시간 감소 및 신뢰성 향상[3](https://blog.naver.com/rohdeschwarzkorea/223445440732)[4](https://www.anritsu.com/ko-kr/test-measurement/solutions/wireless-lan/wi-fi-7?click-from-wireless-lan-solutions).
- **멀티-RU(Multi-Resource Unit)**: 자원 할당 유연성 및 효율성 향상[4](https://www.anritsu.com/ko-kr/test-measurement/solutions/wireless-lan/wi-fi-7?click-from-wireless-lan-solutions).
- **다중 AP 조정**: 여러 AP 간 협업으로 효율적 주파수 활용 및 처리량 증가[4](https://www.anritsu.com/ko-kr/test-measurement/solutions/wireless-lan/wi-fi-7?click-from-wireless-lan-solutions).
- **적용 분야**: 4K/8K 비디오 스트리밍, AR/VR, 클라우드 게임 등 초고속·초저지연이 필요한 차세대 서비스[4](https://www.anritsu.com/ko-kr/test-measurement/solutions/wireless-lan/wi-fi-7?click-from-wireless-lan-solutions).
## **정리**
- **Wi-Fi 6E(11ax-6G)**는 기존 Wi-Fi 6의 기술을 6GHz 대역까지 확장하여, 고밀도 환경에서의 효율성과 속도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2](https://www.rohde-schwarz.com/kr/solutions/wireless-communications-testing/wireless-standards/wlan-wi-fi/wlan-ieee-802-11ax-testing/wlan-ieee-802-11ax-testing_250903.html)[6](https://statetechmagazine.com/article/2021/08/wi-fi-6-vs-wi-fi-6e-benefits-whats-difference-perfcon).
- **Wi-Fi 7(11be-6G)**는 6GHz 대역을 포함해 채널 폭, 변조 방식, 공간 스트림 등 모든 면에서 확장되어, 훨씬 더 높은 속도와 대용량, 초저지연을 실현합니다. 특히 멀티링크, 320MHz 대역폭, 4096-QAM, 멀티-RU 등 혁신적 기능이 추가되어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의 핵심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https://www.anritsu.com/en-US/test-measurement/technologies/wlan/wlan6gfeatures/wifi7?click-from-wifiparent)[3](https://blog.naver.com/rohdeschwarzkorea/223445440732)[4](https://www.anritsu.com/ko-kr/test-measurement/solutions/wireless-lan/wi-fi-7?click-from-wireless-lan-solutions).
**즉, 11be-6G는 11ax-6G 대비 속도, 용량, 지연시간, 효율성 등 모든 면에서 한 단계 진화한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 기술입니다.**
https://www.perplexity.ai/search/museon-neteuweokeueseo-11ax-6g-B6uscItUQ9q47iK6ri.paw
<br>
# References
[Wi-Fi 7 -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Wi-Fi_7)
<br>
# Links
[[_MOC_2_Network]]
<br>
# Tags
#network #wireless #wifi7
<br>
# Aliases
#네트워크 #무선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