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My Thoughts
- 추상화는 개념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패턴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 요약과 같은 추상화 훈련을 통해 아이디어를 쉽게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br>
# Summary
- 숀케 아렌스 <제텔카스텐>, p.188 ~ 189
- 메모를 비교하고, 차별화하고, 연결하는 작업은 훌륭한 학술적 글쓰기의 기반이다.
- 이렇듯 아이디어를 가지고 놀 수 있으려면, 추상화abstraction하고 재명시re-specification하는 방법으로 아이디어를 원래 맥락에서 해방하는 것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다.
- 추상화가 생각의 최종 목표가 되어 서는 안 되겠지만, 이것은 이질적인 아이디어들을 양립시키는 데 필요한 중간 단계다.
- 만약 다윈이 참새에 관한 구체적인 관찰내용을 추상화하지 않았다면, 절대로 개요, 즉 다양한 종에 적용되는 진화의 일반원칙을 발견하지 못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종에서 진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도 절대 알 수 없었을 것이다.
- 우리는 매일매일 구체적인 상황을 추상화해야 한다. 오로지 추상화와 재명시 과정을 통해서만, 현실 속의 이례적이고 항상 변화하는 상황들에 아이디어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헌 131)[^131]
- 예술과의 조우와 같은 매우 개인적이고 은밀한 경험에도 추상화는 요구된다.
- 엔지니어들의 창의력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들은 기술적 문제에 대해 창의적일 뿐만 아니라 기능적이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추상화 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엔지니어가 특정한 문제를 바탕으로 추상화하는 능력이 뛰어날수록, 그가 제시하는 해결책은 더 뛰어나거나 실용적이라고 한다. 심지어 그가 추상화한 바로 그 문제 자체가 실용적으로 해결되는 경우도 있다.(문헌 132-p.103)[^132]
- 추상화는 개념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열쇠이자, 유사점을 밝히고 아이디어를 결합하는 열쇠이기도 하다. 여러 학문 분야를 연결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특히 그렇다. (문헌 133)[^133]
<br>
[^131]: (문헌 131) Lowenstein, Jeffrey. 2010. "How One's Hook Is Baited Matters for Catching an Analogy(유추를 잡기 위한 미끼 사용법)" In B. H. Ross (Ed.), The Psychology of Larning and Motivation: Advances in Research and Theory, 149-182. Amsterdam: Academic Press.
<br>
[^132]: (문헌 132) Gassmann and Zeschky, 2008. "Opening up the Solution Space: The Role of Analogical Thinking for Breakthrough Product Innovation(솔루션 공간 개방: 돌파구를 마련하는 제품 혁신을 위한 유추적 사고의 역할)“ 103
<br>
[^133]: (문헌 133) Goldstone, Robert L., and Uri Wilensky. 2008. "Promoting Transfer by Grounding Complex Systems Principles(복합 시스템 원칙 교육을 통 한 전이 촉진)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7 (4): 465-516.
<br>
# References
[제텔카스텐 - YES24](http://www.yes24.com/Product/Goods/99475214)
<br>
# Links
[[_Index_1_DailyNote]]
[[Day 51_요약이 최고의 글쓰기 연습]]
[[Day 81_제텔카스텐 메모는 간결하다]]
<br>
# Tags
#note #memo #zettelkasten #abstract
<br>